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비 체험의 심리학적 탐색과 자비 조망 훈련의 효과 검증 : Psychological Study on Experiences of Compassion and Development of Compassionate Perspective Train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하현주

Advisor
권석만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2020. 2. 권석만.
Abstract
자비는 고통받는 대상이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기를 바라는 염원과 태도이다. 자비로운 태도를 갖는 것이 개인의 심리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으나, 자비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돌봄 제공자 및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정서전염으로 인한 심리적 소진 또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정서전염 상황에서도 자신과 타인의 고통에 압도되거나 소진되지 않고 건강한 자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 연구를 통해 자비 체험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였고, 현상학 연구에서 드러난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자비를 증가시키고, 자기몰입이 자비를 저해한다는 결과를 양적으로도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전염이라는 자기와 타자 간의 상호연결성에 대해 인식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몰입을 감소시키고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비를 증진할 수 있는 자비조망훈련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일련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고통받는 대상을 향한 진정한 자비가 어떤 양상과 본질을 가지는지 파악하기 위해 자비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종교, 상담, 교육, 명상, 사회복지 등 다양한 현장에서 10년 이상 재직하고, 또 주변인의 추천과 연구자의 검토를 통해 선발된 8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파악된 자비 체험은 3개의 본질적 주제 및 7개의 상위주제, 20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는 이다. 이 주제에서는 고통받는 존재를 향한 지향과 사랑과 고통의 체험이 빚어내는 자비라는 상위 주제가 분류되었다. 두 번째 본질적 주제는 이고, 여기에는 자타의 구분이 없는 고통의 교류, 자기와 타자의 연결과 단절이라는 상위 주제가 포함되었다. 마지막 본질적 주제인 에는 고통을 대하는 마음챙김의 태도, 자기몰입적 태도로부터의 탈피, 고통받는 이가 주체로 서게 하는 힘이라는 상위 주제가 분류되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나타난 자기와 타자가 고통을 주고받는 상호연결성에 주목하여, 자동적이고 비의식적인 정서전염이라는 현상과 자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정서전염이 자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몰입은 부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마음챙김은 정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부정 정서전염이 자비로 가는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자기몰입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부정 정서전염 상태에서 자비로 가기 위해서는 자기몰입을 감소시키는 개입이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연구 3에서는 체험적 탈자기참조적 개입을 통해 부적응적인 자기몰입을 줄이고 자비를 증진시키기 위한 자비조망 훈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비조망 훈련은 정서전염이라는 현상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자기몰입적인 해석을 줄이고, 자기와 타인 모두를 향해 자비로운 염원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포함한다. 대학생 40명을 실험집단인 자비조망 훈련 집단(n=21)과 비교집단인 마음챙김 훈련 집단(n=19)에 할당한 뒤, 1주일간 불편감을 경험하는 사건에 대해 각 집단별 훈련을 실시하고, 온라인 경험기록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사전/사후/추후 3회 측정한 결과를 보면, 자비조망 훈련 및 마음챙김 훈련 두 집단 모두 자기몰입, 불안, 개인적 고통, 고통감내력 부족의 감소를 보고하였고, 자비와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자비조망 집단에서 조망수용의 증가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자기참조적 과정에서는 반복적 동일시, 행위주체 감각, 경험과의 융합 정도에서 자비조망 집단이 마음챙김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기와 타자가 정서전염이라는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정서전염의 경험 속에서 자기몰입하지 않고 마음챙김의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자비를 증진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본 연구는 자비 체험을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 이에 기반하여 체험적 탈자기참조적 개입을 포함한 자비조망 훈련을 개발하고,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Compassion is the aspiration and attitude that the suffering object is to be free from suffering. Many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having a compassionate attitude has positive effects o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the exhaustion caused by emotional contagion is report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ompassion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chanism that leads to healthy compassion without being overwhelmed or exhausted by the suffering of oneself or of others due to emotional contagion. Through phenomenological study, the essence of the compassion exper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emotional contagion was explored. A quantitative study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that mindfulness increases compassion and self-absorption decreases it, as suggested by the phenomenological study. Finally, a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Compassionate Perspective Training, which includes recognizing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self and others when emotional contagion arises, reducing self-absorption, and promoting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mpassion.
In study 1,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mpassion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aspects and the essence of true compassion towards the suffer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8 participants who had at least 10 years of experience in various fields such as religion, counseling, education, meditation, and social welfare. They were selected through recommendations from their colleagues or researchers. The compassion experience identified through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classified into three essential themes, 7 major themes and 20 sub-themes. The first essential theme is . major themes such as orientation toward the afflicted and compassion from experience of love and suffering were categorized into this theme. The second essential theme is the , which included the major themes of exchanges of suffering without separating the self and others and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self and others. The last essential theme, , included the major themes of the mindful attitude towards suffering, the detachment from self-absorptive attitudes, and the power to let the sufferer be the subject.
Study 2 focused on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self and others', shown in study 1. The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absor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verifi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300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absorption plays a role as a negative mediator, and mindfulness as a positive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Mean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was not significant but self-absorption showed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to reduce self-absorption needs to be preceded in facilitating compassion.
Study 3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assion Perspective Training(CPT), which was developed to reduce maladaptive self-absorption and increase compassion through the Experiential Selfless Processing intervention. Forty college students were assigned to either CPT group (n=21) or mindfulness training group (n=19). Each group was required to train for one week and complete an online daily diary. The pre-, post-, 4 weeks follow up tests showed that both groups reported a decrease in self-absorption, anxiety, personal distress and distress intolerance level.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ssion, self-compassion and life satisfaction. Unlike the mindfulness training group, there was an increase in perspective-taking in the CPT group. Regarding self-reference processing, the CPT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repeated identification, sense of agency, and identification with the experience, compared to that of the mindfulness trainin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assion can be enhanced by recognizing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and maintaining the attitude of mindfulness without self-absorption when emotional contagion aris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experience of compassion in-depth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In addition, Compassion Perspective Training, which includes intervention regarding experiential selfless processing,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92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