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중국어 会의 상, 서법, 시제 기능에 관한 유형론적 연구 : 现代汉语会时体态功能的类型学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Liu Yafei

Advisor
박정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2020. 2. 박정구.
Abstract
현대중국어의 会는 사용빈도가 상당히 높은 조동사이다. 학계는 일반적으로 会가 능력과 가능성의 의미를 나타낸다고 본다. 가능성의 의미에 있어서 중국어에서는 많은 표현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会의 의미 및 용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해 왔다. 会에 관한 연구는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남아있다. 예를 들어, 학자들은 모두 会가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인정하지만 가능성의 정도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의견들을 가지고 있다. 会가 매우 높은 가능성, 중간 정도의 가능성, 혹은 낮은 가능성을 나타낸다는 주장을 모두 찾을 수 있다. 따라서 会의 용법에 대한 파악이 아직까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떤 상황을 묘사할 때 가능성의 의미를 나타내는 성분을 이미 사용한 경우에도 会가 여전히 출현해야 한다. 또는 어떤 상황이 무조건 발생할 때, 会를 사용하지 않으면 문장이 비문이 된다. 가능성이라는 의미만으로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이러한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본고는 더 넓은 시각에서 会의 사용 및 성질을 전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현대중국어의 会는 다섯 가지 용법이 있다. 기존의 사전에 수록된 유생물이 학습을 통해 획득한 능력 및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의 의미는 이미 많이 연구되어 있다. 그러나 자세히 분석해 보면, 후자로 귀납되는 용법을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가능성으로 간주할 수 있는 용법은 사실상 会가 부정형식이거나 의문문에서 출현하는 상황에 제한되어 있다. 이를 양태의 각도에서 보면 인식양태에 속한다. 본고는 나머지 가능성으로 분석되어 왔던 会의 구체적인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유형론적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이러한 会는 습관상, 서상법, 미래시제를 지시하는 역할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장이 묘사하는 사태가 습관상의 상적인 특징을 지닐 때, 会는 주요 술어동사 앞에서 자주 출현한다. 이때 사용되는 会를 가능성으로 설명하면 문장이 원래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 어긋난다. 한편으로는 일정한 기간 안에 어떤 사태의 발생이 복수의 횟수로 관찰되면, 해당 기간에 어떤 경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많은 언어들은 습관상을 나타내는 각종 수단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습관상을 표시하는 형태적인 수단이 존재하지 않지만, 문장의 부사어와 주어는 문장이 묘사하는 사태가 복수라는 해석을 부여해줄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단순히 사태를 복수화시키는 역할만 하며, 사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会를 통해서 표현한다. 일부의 언어에서는 특정한 기능범주를 나타낼 때 두 가지의 성분을 동시에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식도 관찰되며, 학자들은 이를 협동체계라고 한다. 본고는 현대중국어의 会가 습관상을 나타낼 때도 협동체계의 한 성분으로 본다. 즉, 기타 성분은 사태가 복수인 것을 나타내고, 会는 그러한 사태의 발생이 일정한 기간의 경향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会의 이러한 성질에 의해 문장에서의 출현 여부를 결정한다.
문장이 어떤 사태가 과거나 현재에 일회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묘사할 때, 会도 출현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사태는 화자와 청자가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기 때문에 会는 분명히 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이는 유독 중국어에만 존재하는 현상이 아니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형태적인 수단을 통해 서법을 표현하는 언어들도 서상법으로 화자와 청자가 알고 있는 현실적인 사태를 묘사할 수 있다. 이때 문장은 대부분 절목적어를 사용하는 형식이고, 주절의 술어동사는 주어의 심리상태나 감정평가를 나타낸다. 목적어절의 술어동사가 서실법 형태이면, 문장이 사태에 대한 객관적인 묘사라고 해석된다. 반면 서상법 형태이면, 주절이 묘사하는 심리상태나 감정평가가 강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 会는 목적어절의 술어동사 앞에 위치하고 생략될 수도 있으며 주절의 술어동사도 감정평가의 의미를 나타낸다. 会를 사용하는 문장과 사용하지 않은 문장의 차이도 서법 범주를 형태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하는 언어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장에서 출현하는 会는 서상법의 표지로 간주할 수 있다.
会가 습관상이나 서상법의 표지로 사용될 때는 문장에서 항상 특정한 성분과 공기한다. 만약 그러한 공기성분이 없으면 문장이 묘사하는 사태는 모두 미래에 발생한다. 미래는 원래 과거, 현재와 달리 화자에게는 이미 알고 있는 정보가 될 수 없으므로 기존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양태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본고는 양태와 시제는 별개의 범주라고 간주한다. 왜냐하면 양태 범주는 문장이 묘사하는 사태의 시간적인 요구가 없기 때문이다. 즉, 어떤 문법소가 양태 범주에 속하면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와 모두 조합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중국어의 会는 일부 제한적인 용법 외에 항상 미래에 발생할 사태만 묘사할 수 있다. 미래의 어떤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부사도 사태가 미래에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구체적인 어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문법수단으로 보기가 힘들다. 이에 비해, 본고의 고찰을 통해 会는 구체적인 어휘 의미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会가 출현하는 문장이 묘사하는 사태가 미래에 반드시 발생해도 会가 출현하지 않는 문장보다 확신성이 약하다. 이는 会가 출현하지 않으면 문장의 시제는 현재이고 출현하면 미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미래에 어떤 사태의 발생이 현재에 이미 확인될 때만 会가 출현하지 않기 때문에 발화시간과 사건시간이 겹치며, 전형적인 현재시제가 된다. 반면 사건의 발생이 발화 이후의 어떤 시간에 확인되면 미래시제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 그러므로 문장에서 会의 역할은 바로 사태가 미래에 발생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다.
습관상, 서상법, 미래시제의 표지인 会는 각각 상, 서법, 시제의 범주에 속하는데, 세 가지 범주를 会 하나를 통해 모두 표현하는 것은 会의 각 기능을 실현할 때 공통된 성질을 지니고 있는 점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는 바로 습관상, 서상법 및 미래시제가 원래 비현실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문장에서 会는 이 중의 두 가지 심지어 세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도 발견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고는 공시적인 측면에서 会의 다섯 가지 용법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추론하여 会의 기능 체계를 재구성하였다.
논의를 통해 본고는 현대중국어의 会가 능력과 가능성의 의미 외에 상, 서법 및 시제 범주의 표지로서도 사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会是现代汉语中使用频度较高的一个助动词。在现有研究中大多数学者认为它主要表达能力和可能性两种意义。现代汉语中存在较多能表达可能性意义的词语,因此为了准确区分它们,针对会的语义学者们进行了大量的研究。目前现有研究可以说取得了不少的成果,但同时也仍存在一些问题。如虽然学者们都认为会可以表达可能性的意义,可是关于这种可能性意义的强度却有着各种不同的看法。有学者认为会表达的是极高的可能性,有学者认为会表达的可能性属于中等程度,也有学者认为该可能性较低。正是因为现有研究存在的问题,导致我们对会的意义和用法把握得仍不够准确,也带来了教学中的各种问题。句中已经出现了表达可能性的词语,可是仍必须使用会,或者说话人认为某事态不是可能发生,而是自然应该如此也必须使用表达可能性的会。想要向汉语学习者解释这些问题,就需要我们对会进行更深入的研究。因此本文希望从更高的视角对会进行全面细致的考察。
根据本文的考察会的用法可以分为五种。除了已经被词典收录的能力和可能性意义以外,会明显还有其他的功能。这些功能都是对可能性意义进行的细部分类。被学者公认的属于认识情态范畴的可能性意义的会,事实上只是那些出现在否定句、疑问句、反问句中的用法。除此之外的用法如果只使用可能性进行宽泛的说明明显存在一定问题。本文将这些用法根据具体功能的不同分为三类,它们分别是表达惯常体、虚拟语气和将来时的用法。这三种用法同时也是本文考察的重点。
第一,表达惯常体的用法。从体范畴的角度出发来观察句子描述的事态时,有一种事态是反复出现的,在描写这一情况时会常常出现且很难用可能性来解释。特别是反复出现的事态在过去发生的情况。这种体范畴在一般语言学中被称为惯常体。让句子得到惯常体解读的相关句子成分有主语、状语和谓语动词,通过它们可以赋予句子描写的事态以复数性。出现这些有表达复数性功能的主语、状语和谓语时,会也经常与它们共现。在一些语言中表达某些语法范畴时会使用两个标记,被称为协同系统,两个标记合作表达一个语法范畴。汉语可以分析为惯常体的句子中,其他表达复数性的成分和会共现,因此可以把它们看作一种协同系统。因为复数性本身是现实性的范畴,所以惯性体的趋势性,即一定意义上的非现实性是由会来表达的。从这一点出发也可以找到会在这些句子中的使用条件限制。
第二,表达虚拟语气的用法。句子在描写过去或现在已经发生的,且说话者和听话者都已知的一些事态时,可以发现使用了被广泛认为表达可能性语义的会。因此在该类句子中会的语义功能是什么成为了一个疑问。从类型学的相关研究中,我们可以发现与汉语类似的情况。印欧语系的一些语言存在语气范畴,一般虚拟语气表达说话人的假设、判断等非现实性的内容。可是有些情况下,描述听和说双方都已知的信息时句子的谓语动词是虚拟语气的形态。这时句子的宾语一般是一个小句,主句的谓语动词一般表达情感评价意义。当使用虚实语气时该句解读为对某事件的客观描述,而虚拟语气则突出了说话人对小句描写的事态的感情评价。反过来看汉语使用会的这类句子也是如此。因此本文认为这种会实现了印欧语系中虚拟语气的功能,是一种表达虚拟语气的标记。
第三,表达将来时的用法。会除了被用作惯常体和虚拟语气标记的用法以外,其他的句子全部都是描述在将来某时间将发生某一事件,而且通过语料考察也可以发现句中的会并不表达某种具体的语义。因此本文通过汉语内部和与其他语言的外部比较分析,认为这一会的用法应该看作将来时的标记。关于将来时,学界多数认为由于将来发生的事件都是无法百分之百确定的,因此可以直接归入情态范畴。可是根据大量的类型学研究结果可以确认两者是各自独立的语义功能范畴。虽然将来的事态确实存在不确定性,可是情态却不能等同于将来时,因为情态与过去时、现在时都是兼容的。不确定性只是将来时本来蕴含的一种特性,将来时的本质和核心是将句子描述的事件在时间轴上进行定位。本文支持把将来时看作确认事件发生的时间点晚于说话时间的处理方式。也就是说,句子描写了某个事件,可是该事件的发生要在这之后才能得到确认。也正因如此,事件的发生不能被作为当前现实,即用现在时的视角进行描述。作为将来时标记的会有绝对将来和相对将来两种用法,后者是以句中或前句描述的其他事件为参照点,而不是以说话事件为参照的。
会表达惯常体、虚拟语气和将来时的用法虽然分别属于体、语气和时制三个完全不同的上位范畴,可是却存在共同点,即三者都具有非现实性。虽然本文没有对会进行历时的考察,但是根据现有的共时考察结果,我们可以对会的五种用法进行意义联系上的再构拟。以相对将来时的用法为中心其他用法间存在直接或间接的联系。
本文从功能主义的角度出发,参考了现有的类型学研究成果。作为语言使用者所以要认识的对象即客观世界是相同的,基本的认知方式是相同的。但是受各种因素的影响,具体个别语言中,某一具体语法语义范畴的内涵和外延也可能与其他语言不尽相同。因此本文从体、语气和时制的角度对现代汉语会进行的考察,希望不仅能帮助我们正确理解它的各种用法,进一步管中窥豹发现汉语与其他语言某些范畴的共性和个性,给从更广的视角来把握汉语提供一定的参考。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808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