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살바토레 샤리노(Salvatore Sciarrino)의 <피아노 소나타 1번>(1976) 연주 분석 및 해석적 고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우리

Advisor
서정은; 아비람 라이케르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20. 2. 서정은
아비람 라이케르트.
Abstract
This dissertation analyzes Italian composer Salvatore Sciarrinos and 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performance upon the analysis. Piano Sonata No.1, one of Sciarrinos earliest works, reflects the composers unique world of music which emphasizes the notion of sound while being associated with the piano repertoires of previous periods such as those by Liszt or Debussy.
Sciarrino, who showed a keen interest in the act of listening among various concepts related to music, identified the process of composition, performance, and listening as an organic correlation and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ound structure. In this way, Sciarrinos work presents to the listener a comprehensive way of thinking toward music, and hence requires new approaches for performers as well.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ound structure in the actual duration of listening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work, and the performance is the actual means by which the listener can physiologically experience the sound structure. Hence, in order for the audience to recognize the sound structure, the performer must experience it first. The question, therefore, remains for performers on how to play and interpret the music to reveal the musical attitude of Sciarrino and his emphasis on listening.
This study examined Sciarrinos Piano Sonata No. 1 and approached the work in a multi-faceted manner suited to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music. In order to understand Sciarrinos musical stance, the study investigated his life, thoughts on music, and the concept of Figure suggested by Sciarrino. The study also examined his piano works by time period, not only Piano Sonata No.1, to understand the course of his work. Based on the findings, Piano Sonata No.1 was analyzed in Chapter III. First, figures were classified into main and subsidiary figures, and second, the work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or analytical purposes of the study. Finally, in response to the conception of the Figure, the study examined Sciarrinos work under the notions of the Windowed Form, Accumulation, Multiplication, and the Little Bang.
Based on the analysis, Chapter IV investigated Piano Sonata No.1 in terms of tempo, dynamics, and articulation. There are no temporal instructions for the work, and hence performers play the music to different durations and tempo settings. In this sense, the temporal aspect, such as the overall tempo, and how fast a particular figure is played or how long a rest or a fermata is, are deciding factors that reveal the thoughts of the performer.
Dynamics, unlike tempo, is described in detail in Piano Sonata No. 1 from a wide-ranging pppp-ffff. The change of dynamics varies from part to part bu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more gradual dynamic change by Accumulation and the drastic dynamic change by the Windowed Form which creates change through sharp contrasts.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performer can progress through gradual dynamic change or express abrupt interruptions and breaks, and control the overall flow of the music through such interpretations.
Finally, the sound dimension which Sciarrino cared about deeply is finely controlled through pedaling and phrasing. In this Sonata where several figures appear repeatedly and are played dozens of times, the structure of the repetitions and its realization is manifested through the pedaling and phrasing,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performers. Depending on how the music is divided in regards to pedaling and phrasing, the temporal experience of the listener may differ greatl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how the pedaling and phrasing of musicians differed in each part, and based on the analysis, suggested appropriate ways of phrasing.
In Sciarrinos music, performers are important agents as interpreters and the first realizers of the work, not merely those who deliver the work. Sciarrino placed special emphasis on the process of listening because he focused on the process of how music is delivered to the audience through the performer rather than the process of how music is notated as scores by the hands of the composer.
Modern music has not only changed the concept of musical work but also has influenced the notions of performance and listening. Todays musician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main premise and factors of a piece, and to deliver these well to the audience. This paper not only discussed Sciarrino as a composer and his works but considered the aspects of performance and how the act of listening relies on performance. It is hoped that Sciarrinos work would be more widely discussed an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in performance of modern music.
본 논문은 이탈리아 작곡가 살바토레 샤리노(1947~)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의 작품 분석과 연주 해석에 관한 연구다. 〈피아노 소나타 1번〉은 샤리노의 초기작품 중 하나로, 샤리노의 음악 중에서도 특별히 리스트나 드뷔시 등 이전 시대의 피아노 레퍼토리와 일부 맞닿아 있으면서도 음향을 중시하는 샤리노의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반영하고 있다.
음악을 둘러싼 여러 개념 중에서도 청취에 깊은 관심을 보인 샤리노는 작곡-연주-청취에 이르는 과정을 유기적인 상호연관관계이자 소리구조가 구축되어가는 과정으로 보았다. 음악에 대한 통합적 사고를 제시하는 샤리노의 음악은 연주자에게도 새로운 접근을 요한다. 청자가 물리적 시간 안에서 음악을 들으며 소리구조를 구축해나가는 과정은 작품의 음악적 구조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을 것이며, 작품을 소리화하는 연주는 청자가 소리구조를 생리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실질적인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단순한 작품의 전달자가 아니라 해석자이자 실현자로서 어떻게 이 곡을 연주하고 해석해야 청취자에게 작곡가의 음악적 태도를 잘 드러낼 수 있는가라는 과제가 남게 된다.
샤리노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을 연구 주제로 삼은 본고는 이 곡의 적절한 연주해석을 위해 다각적인 시선으로 작품에 접근한다. 먼저 II장에서는 샤리노의 고유한 음악적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생애와 음악관, 그가 새롭게 주장한 피겨 개념, 피아노 작품들을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피아노 소나타 1번〉을 분석적 시각으로 접근한다. 첫째로는 작품에 주로 사용되는 음형들을 주요 음형과 부수적 음형으로 분류하고, 둘째로는 작품을 거시적 관점에서 세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살펴보며, 셋째로는 피겨 개념에 입각해 샤리노의 음악을 윈도우 형태 축적 과정 증식 과정 리틀 뱅까지 총 네 가지 용어로 다시 한 번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연주 해석의 전제로 삼은 뒤, IV장에서는 〈피아노 소나타 1번〉을 템포, 다이내믹, 그리고 아티큘레이션이라는 세 관점에서 바라본다. 이 작품에는 시간적 측면에 대한 지시어가 쓰여 있지 않으며, 연주자마다 전체 연주 길이 및 세부적인 템포 설정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작품의 연주에서 전체적인 템포를 어떻게 잡을 것이냐부터 특정 음형을 어느 정도의 빠르기로 연주하는가, 쉼표나 페르마타 등을 어느 정도의 길이로 연주하는가 등 시간적 측면은 연주자가 이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을 드러내주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다.
다이내믹은 템포와 달리 〈피아노 소나타 1번〉에 매우 섬세하게 기보된 요소로, 샤리노는 ppppp—ffff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다이내믹을 정교하게 사용했다. 다이내믹의 변화 양상은 부분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축적 과정에 의한 점진적인 다이내믹 변화와 윈도우 형태에 의한 급작스러운 다이내믹 변화로 크게 양분된다. 즉 연속적인 다이내믹 변화를 구현할 것인지, 다이내믹을 통한 중단과 단절을 표현할 것인지가 맥락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다이내믹 해석을 통해 곡의 전체 흐름과 완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샤리노가 중시한 음향적 차원은 아티큘레이션 중에서도 페달링과 프레이징에 따라서 미세하게 조율된다. 몇 종류의 음형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그것을 수십차례 반복하는 이〈피아노 소나타 1번〉의 연주에서, 각자의 해석에 따라 그 반복을 구조화하고 이를 직접적으로 구현해내는 것은 페달링과 프레이징의 영역이다. 어느 정도의 길이로 페달링과 프레이징을 묶고 나눌 것인지에 따라 이 작품을 청취하는 시간적 경험이 매우 달라지기에, 본고에서 필자는 각 부분에 따라 연주자들의 페달링과 프레이징이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부분마다의 적절한 프레이징을 제시하였다.
앞서 언급한바 음악을 작곡-연주-청취의 유기적 관계로 이해한 샤리노의 관점은 연주자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준다. 음악의 해석자로서 연주자에게는 작품의 구조와 핵심요소를 깊이 파악하고 이를 청중에게 잘 들려줄 것이 요청되는 것이다. 필자는 샤리노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을 연구함으로써 샤리노라는 작곡가와 그 작품을 살펴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연주와 그에 깊게 의존하는 청취라는 측면을 더욱 다층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도 샤리노의 작품들이 더욱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더 나아가 현대음악 연주에 관한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808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8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