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Built Environmental Components for Healthy City : 건강도시계획 요소의 평가 분석과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Cases of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윤원

Advisor
윤희연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2020. 2. 윤희연.
Abstract
Local governments of South Korea have been following the Healthy Cities Movement, and they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in creating healthy cities and communities. The local governments treat the design and planning of cities with much importance, because an integration of activities in urban settings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healthy cities. However, anecdotal evidence has raised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ose designs and planning projects based on Healthy Cities approaches. In addition to questions about past projects, citizens and the media are looking for new systems and amenities to solve emerging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o which most people are new. This increase in questions and demands from citizens not only leads to dissatisfac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their communities, but also hinders the proper use of government budgets. Therefore, studies that seek to evaluate past projects and to explore possible projects for healthy cities are becoming important in the field of sustainable development.
Among the factors for creating a healthy cit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promoting people's active lifestyles through provision of public safety. This safety is emphasized in various areas such as pedestrian safety, crime prevention,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rinking water contamination prevention. Various Healthy City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se problems, but due to the lack of data and evaluation tools, the systems and amenities have not been properly evaluated in these projects. Also, for the same reason,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projects focused on emerging problems.
This two-part research thesis develops a methodology and framework for finding weaknesses of existing Healthy City projects in Seoul. The thesis also identifies new environmental issues to address, in order to provide a healthier environment for citizen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projects related to road safety,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nvestigates Silver Zones in Seoul, which are constantly questioned in terms of effectiveness. To explore new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air pollution preventio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citizens behavior regarding recreational site selection based on the air pollution severity.
This study seeks to develop useful decision support tools for design and planning for Healthy Cities approaches, by providing an empirical methodology for evaluation of existing projects and for the exploration of new environmental issues. The evaluation process and results of each chapter will be beneficial in the future for larger communities as they can be used to update design and planning guidelines and explore new issues that may affect citizens health.
최근 우리나라의 여러 지방자치 단체들은 세계건강보건기구 (WHO)에서 제시하는 건강도시 개념을 바탕으로 건강도시의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건강도시 개념에 따르면 여러가지 건강도시적 요소 중 시민들이 여러가지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여러 지방자치 단체들도 건강도시 접근법을 사용하여 도시환경의 계획 및 설계 관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지역의 보건을 증진시키는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정부가 설립한 여러 건강도시 사업들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꾸준히 의문이 제기되어왔다. 또한 국민들은 새로운 사회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건강도시적 시스템과 편의시설 사업의 부족함을 문제삼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해당 지방정부에 직접 요구하기도 한다. 국민들의 이러한 불만과 요구가 전략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건강도시 구현이라는 궁극적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예산 사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에 설립된 건강도시 사업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아가고, 급부상 중인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능동적으로 파악하여 우리사회에 새롭게 필요한 건강도시 사업을 제안하는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건강도시 개념에는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여러 요소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안전한 환경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더욱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한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안전에는 보행자 보호, 범죄 예방, 대기 오염 또는 식수 오염 방지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요소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안전과 예방에 목적을 둔 다수의 건강도시 사업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데이터 및 평가방법의 부족으로 인해 기존의 안전 관련 건강도시 사업의 효용성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와 평가방법의 결여는 우리 사회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그에 알맞는 건강도시 사업 구상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는 건강도시 요소 중 안전과 관련된 서울시의 기존 건강도시 사업의 평가와 새롭게 필요한 건강도시 사업의 탐색에 적합한 방법론과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 본 연구의 첫번째 챕터에서는 보행자 안전과 관련된 기존 건강 사업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서울시의 노인보호구역 (Silver Zones)를 사례로 들어 평가한 후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두번째 챕터에서는 최근 국내 대기 오염의 심각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대기오염 수준이 서울시민들의 여가활동 장소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건강도시 사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과정에서 사용된 평가방법은 향후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 과정에서 평가 및 의사결정지원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각 챕터의 분석 결과는 건강도시 계획 및 설계 가이드라인에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에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810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4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