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Study on high performance MR fluid with enhanced sedimentation stability : 침강 안정성이 향상된 고성능 자기유변유체에 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상석

Advisor
서용석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agnetorheological fluidCompositesConstitutive equationRheological propertyLong-term stabilitySedimentation자기유변체복합체구성방정식유변적 특성장기 안정성침강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2020. 8. 서용석.
Abstract
Magnetorheological (MR) fluids are typically consist of magnetic particles (Carbonyl Iron, Fe2O3, Fe3O4 and so on) in a magnetically insulating fluid (water, silicon oil and so on). When a magnetic field induces attrac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magnetic particles, these particles form a solid-like network of fibril shapes within a few milliseconds orient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Reverse transition occurs as soon as the magnetic field is switched off. These features lead to remarkable changes i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fluid which shows wide potential applications such as dampers, brakes, shock observers, drug delivery, and robotics, etc and could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depending on applications. Despite substantial advanced in commercialization, MR fluids have long-term stability issues that significantly limit their usefulness and also need to be predicted the precise flow behavior.
In this thesis, we propose the constitutive equation to predict the flow behavior of MR fluid and investigate a number of MR fluid composed of soft-magnetic composite particles to overcome the sedimentation drawback. Firstly, as modeling and analysis are essential to optimize material design, describe the flow behavior over a wide range of shear rate and distinguish between static yield stress and dynamic yield stress, the precise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spension rheological properties and such variables as the deformation rate, the applied magnetic field strength, and the composition are required. So we re-analyze the constitutive equation proposed before to describe the MR fluids flow and propose new constitutive equation. The proposed Seo-Seo model predicted the flow behavior precisely compared to pre-exist constitutive model and also yielded a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precise description of MR fluid rheological behavior based on relatively few experimental measurements.
To overcome sedimentation drawback, the core/shell structured Foamed polystyrene/Fe3O4 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applying a dual-step processing comprising pickering emulsion polymerization, subsequently by the foaming of polystyrene core using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luid foaming proces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density of composite was dropped significantly and the long-term stability was improved. As polystyrene located core part and magnetic particle contact directly, the magneto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Foamed polystyrene/Fe3O4 were considerable compared to pure Fe3O4. Even though the core/shell structured Foamed polystyrene/Fe3O4 showed considerable level, the magnetorheological properties got worsen because polystyrene is magnetically non-active. So, we synthesized hollow shape Fe3O4 particles without any magnetically non-active template.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ore/shell structured Foamed polystyrene/Fe3O4, the density of hollow shape Fe3O4 particles rise slightly and the magnetorheological properties reached outstanding level, and the long-term stability maintained.
Also, the conformation of solid-like network of fibril shapes chang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micro/nano size Fe3O4 particles to verify the reinforcement effect.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s, the magnetorheological properties improve due to a rise of the magnetic saturation level. However, depending on the ratio of the nano size Fe3O4 particles, an overturning of the magnetorheological properties and the magnetic saturation was observed. This phenomenon is because of the cavity among the micro size Fe3O4 particles. The micro size Fe3O4 particles develops a relatively coarse solid-like network of fibril shapes. The chain conformation of a bidisperse MR fluid show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cron size Fe3O4 particles-based fluids. The nano size Fe3O4 particles appear to fill in the cavity among the micro size Fe3O4 particles. As a result, this distinct conformation reinforced the magnetorheological properties.
Finally, the shape effect of the magnetic particle on magnetorheological properties and sedimentation stability was investigated by using two types of sendust which are bulk and flake type. The flake type sendust has a small demagnetization factor because its domain orients one direction. This feature lead to extraordinary behavior which is a rapid transition to solid-like network at low magnetic field. Also, its high aspect ratio leads to a large drag coefficient which improve the long-term stability.
자기유변유체는 물 또는 비수계(실리콘 오일 등)의 유체에 자화 가능한 미세입자(철 마이크로 입자)를 분산시킨 현탁액으로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강한 자기장에 따라 짧은 시간안에 탄성, 소성, 점도 같은 자기유변효과를 나타내는 유체를 말한다. 자기유변유체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유변효과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분야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자성입자와 현탁 유체와의 밀도 차에 의해 발생하는 침전현상으로 인해 자기유변유체의 실제적인 응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유변유체의 거동을 예측하는 구성방정식을 제안하고, 침전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연자성 복합체로 구성된 자기유변유체를 조사한다. 재료 설계를 최적화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광범위한 전단 속도에 걸친 흐름 동작을 설명하고 정적 항복 응력과 동적 항복 응력을 구분하여야 한다. 또한, 현탁액의 유전학적 특성과 변형률, 적용된 자기장 강도 및 구성과 같은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기유변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기존의 제안된 구성방정식을 분석하고 새로운 구성방정식을 제안한다. 새롭게 제안한 구성 방정식인 서-서 모델은 기존에 존재하는 구성방정식과 비교하여 유체의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였고, 비교적 적은 실험 값을 바탕으로 자기유변유체의 흐름에 대한 정량적, 질적으로 정밀한 설명을 도출하였다. 침전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피커링 에멀전 중합을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포공정의 이중 공정 처리를 통해 코어-쉘 구조의 발포 스타이렌 고분자-철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이중 공정 처리를 통해 복합체의 밀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장기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스타이렌이 코어 부분에 위치하여, 철 입자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높은 자력 특성을 얻었다. 코어-쉘 구조의 발포 스타이렌 고분자-철 복합체의 자력 특성이 상당한 수준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타이렌이 자력적으로 비활성화 물질이므로 순수한 철에 비해 자력 특성은 약화되었다. 따라서 자력적으로 비활성화 물질인 스타이렌을 제거하여 지지대가 없는 중공형상의 철 입자를 합성하였다. 그 결과, 코어-쉘 구조의 발포 스타이렌 고분자-철 복합체에 비해 중공형상의 철 입자는 밀도가 약간 상승하였으나 높은 자력특성을 보였고 장기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추가적으로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철 입자를 사용하여 피브릴 구조의 보강효과를 검증하였다. 입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 포화 수준의 상승으로 자력특성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나노 크기의 철 입자의 비율에 따라 자력특성과 자기 포화 현상의 역전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현상은 마이크로 크기의 철 입자의 피브릴 구조를 형성시에 철 입자 사이의 공동때문이다. 마이크로 크기의 철 입자는 비교적 거친 피브릴 구조를 형성한다. 혼성 자기유변체는 마이크로 크기의 철 입자와는 다른 피브릴 구조를 형성한다. 나노 크기의 철 입자들이 마이크로 크기의 철 입자 사이의 공동을 채움으로 인해서 자력특성이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벌크형과 박리형의 센더스트를 이용하여 자기입자의 모양이 유변적 특성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박리형 센더스트의 자구는 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 작은 감자율을 갖고, 이 특징은 저자기장에서 피브릴 구조로의 빠른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박리형 센더스트의 높은 종횡비로 인한 항력계수는 장기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22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6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