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knowledge creation in the organization
focusing on groupthink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spec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차남준

Advisor
황준석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Knowledge managementorganization dynamicscollective intelligencegroupthinkagent-based modelsocio-technology지식경영조직동학집단지성집단사고행위자기반모형사회적기술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2020. 8. 황준석.
Abstract
Knowledge is one of the important sources for the progress of manki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has long been emphasized in various fields, and over time independent experts, systems, and studies dealing only with knowledge have emerged.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required more quantity and quality knowledge in our society, and the knowledge became a competitive itself. The old knowledge creation process had highlighted a person's role. In particular, the creation of knowledge by a small group of experts, by excellent individuals, has contributed the most to the production of knowledge. However, the emergence of online spaces due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use of big data have begun to change the human knowledge creation process unprecedentedly.
The production of knowledge based on individual capability gradually began to be replaced by new technologies and crowds. The combination of new technology proposed a new intellectual system called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was utilized as the main drivers of decision making and knowledge generation in modern social organizations. However, collective intelligence had some limitations. First,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 knowledge is difficult because collective intelligence generally represents a high level of decentralization and horizontal hierarchy. A new method of knowledge integration for collective intelligence was required because a simple method of opinion integration, such as the majority rule, could hinder synergetic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uld rather result in defective knowledge by groupthink. Another problem is the evaluation of knowledge. The evaluation of knowledge becomes more important when the problem has no single optimal solution. Since an organization without an appropriate level of criticism and evaluation is difficult to produce quality knowledge. Thats why different methods are required to evaluat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knowledge successfully, various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For that reason, most of the prior studies on collective intelligence have focused on the conditions of successful collective intelligence.
What if the condition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re not satisfied? The answer to this was in the concept of groupthink introduced before the concept of collective intelligence. Groupthink is defined as a group tendency overlooking criticism, evaluation and consideration of alternatives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consensus. Groupthink, contrary to collective intelligence, has been pointed out as a source for the failure of organizational decision-making. So, the relevant studies have focused on finding solutions to identify and solve the causes of groupthink in order to prevent organizational fiasco.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the way for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based on two concepts: groupthink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order to complete my research goal, three small topics were raised. First, we have to account for groupthink phenomenon which has been the most pervasively used a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group failures. Second, the bridge between groupthink and collective intelligence should be built for finding out the factors enhancing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Third, some strategical aspects are needed. From the self-organization and socio-technological perspective, this dissertation proposes an effective strategy for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The first study in chapter 3 tried to give an answer to the first topic, Can we eliminate groupthink from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groupthink proposed in chapter 3, switching factors that transform groupthink into collective intelligence are derived. In chapter 4, we discuss the effect of switching factors and efficient strategies using them. Findings in chapter 4 can give an answer to the question Is there any link between groupthink and collective intelligence?. Chapter 5, the last study of this dissertation, aims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use of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alytics and online platform. More details of each study are shown below.
The first study, "Is groupthink really inevitable?": focusing on the self-organization mechanism, is about the emergent mechanism of groupthink. The study covers two topics in detail. The first is to verify Janis' groupthink model the most well-known. This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Janis' linear model of groupthink and suggested the need for different perspectives. The second was to simulation of groupthink phenomenon occurrence from a self-organization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groupthink is a phenomenon that can occur naturally in cooperative situ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make the collective thinking phenomenon productive through appropriate measures than to completely eliminate it from the organization.
The goal of the second study, that is titled "The Optimal Strateg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in Groupthink Situation", is twofold. First, identifying the switching factors for the organization in groupthink to transform into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econdly, investigating the optimal strategy utilizing the switching factors. In this study, three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knowledge conflict, reconsideration of alternatives, and organizational memory.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three switching factors, an agent-based model simulation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witching factor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but not in the diversity. 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strategy based on switching factors, the meta-data of the simulation was used to perform the meta-frontie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knowledge conflict and reconsideration has the highest efficiency, whereas the combination of knowledg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has the lowest efficiency.
The last study, "The effect of the use of emerging technologies on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focusing on the use of big data analysis and online platform," identified how the use of new technology affects the produc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The study focused on the use of big data and the use of online platforms. Based on the survey data, the impacts of the use of each technology on the groupthink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studies, this paper put forward the method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process. Guidelines for establishing organizational strategies using switching factors can be suggested, and the level of use of big data and online platforms can be suggested to encourage collective intelligence.
지식은 인류의 진보를 위한 중요한 원천 중 하나이다. 지식의 중요성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독립 전문가들, 시스템 및 연구 결과는 오로지 지식을 다루는 등장했다 강조되고 있다. 최근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우리 사회에 더 많은 양과 질 높은 지식을 필요로 했고, 그 지식은 경쟁 자체가 되었다. 초기의 지식 창출 과정은 개인 또는 소수의 전문가 집단의 역할을 강조했다. 특히 전문가들의 훌륭한 개인이 작은 규모에 의해 지식의 창출, 지식의 생산에 가장 기여한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온라인상에서 공간 정보 통신 기술 출현 및 빅 데이터의 사용은 전례 없이 인간의 지식 생산 과정을 바꾸기 시작했다.
지식의 생산 개인 능력에 따라 점차 새로운 기술과 많은 사람들에 의해 대체되기 시작했다. 새로운 기술과 조직 협력의 조합은 조직적 의사 결정의 주요 동인으로 활용되는 새로운 지식 시스템인 집단 지성이라고 불리는 방안을 제안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방식은 현대 사회 조직들의 지식 창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위키피디아는 온라인 플랫폼 이 집단 지성을 이용하는 가장 성공적인 분야이다. 이 플랫폼은 무작위의 사람들이 참여하며, 단지 지식과 수정 저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준다. 세계적으로 가장 큰 지식 플랫폼인 위키피디아의 성공은 군중 속에서 지식 전문가 집단의 개입 없이 통합된 상호작용으로써 이지식 생태계의 높은 수준을 만든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또한 지식 창출의 주 동력이 재능 있는 개인들 에서 조직으로 옮겨 가고 있다는 걸 증명하였다.
하지만 집단 지성의 일부 한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집단 지성은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분권화와 수평 계층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개별 지식의 통합 어렵다. 단순한 의견 통합 방식은 집단지성의 상승효과를 방해하고 집단사고로 인한 결함 있는 지식 생산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집단지성을 위한 새로운 지식 통합 방식이 요구된다. 또 다른 문제는 지식의 평가에 있다. 특히 지식에 대한 평가는 문제가 하나의 해결책을 갖지 않을 때 더욱 중요해진다. 이것이 새로운 지식 평가 방식이 필요한 이유이다. 또한 지식 생산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그 때문에 집단 지능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성공적인 집단 지능의 조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만약 집단지성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이에 대한 해답은 집단지능 관점이 채택되기 전에 도입된 집단 사고의 개념에 있었다. 집단 사고는 조직의 합의를 이루기 위해 대안에 대한 비판, 평가 및 고려를 간과하는 집단적 경향으로 정의된다. 집단 사고는 집단지성과는 달리 조직적 의사결정 실패의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래서 관련 연구는 조직적인 실패를 막기 위해 집단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할 해결책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집단지성과 집단적 사고는 모두 조직적 지식 창출이나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다. 하지만 집단사고의 원인을 찾는 것이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존재한다.
집단 지성과 집단사고 현상은 조직의 지식창출 또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한다. 그들의 결과물과 무관하게, 조직은 그들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꾸준히 지식창출 행위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결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그들의 조직이 현재 집단사고와 집단지성 중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알아내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수 많은 연구들이 조직 지식 창출과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이론과 가설들을 제시하여 왔다. 그러나 불행히도 집단사고와 집단지성의 전환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집단 사고와 집단 지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조직 지식 창출의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 나의 연구목표를 완성하기 위해 세 가지 작은 주제가 제기되었다. 첫째, 우리는 집단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집단 사고 현상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집단 사고와 집단지성을 연결하는 다리는 조직 지식 창조를 강화하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해 세워져야 한다. 셋째, 몇 가지 전략적인 측면이 필요하다. 자기 조직화와 사회 기술적 관점에서 본 논문은 조직 지식 창출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안한다. 제3장의 첫 번째 연구는 '조직에서 집단 사고를 없앨 수 있을까?'라는 첫 번째 주제에 대한 답을 주려고 노력했다. 제3장에서 제안된 집단 사고의 다른 관점들에 근거하여 집단 사고의 집단지성으로 전환하는 요인을 도출한다. 제4장에서는 전환 요인의 효과와 이를 이용한 효율적인 전략에 대해 논한다. 제4장에서의 결과들은 '집단 사고와 집단지능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다. 제5장 본 논문의 마지막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온라인 플랫폼 등의 기술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 연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Is groupthink really inevitable?: based on self-organization aspect"는 집단 사고의 긴급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는 두 가지 주제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첫번째는 Janis의 집단 사고 모델을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것은 집단 사고에 대한 Janis의 선형 모델의 한계를 제시하고 다른 관점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두 번째는 자기 조직적 관점에서 집단 사고 현상이 발생하는 시뮬레이션이었다. 시뮬레이션 실험의 결과는 집단 사고가 협력적인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집단적 사고 현상을 조직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것보다 적절한 조치를 통해 생산적으로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째 연구인 "The optimal knowledge creation strategy of organizations in groupthink situations"의 목표는 두 가지다. 첫째, 집단사고에서 조직의 전환 요인을 파악하여 집단지능으로 전환하고, 둘째, 전환 요인을 활용한 최적 전략을 조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 충돌, 대안의 재고, 조직 기억의 세 가지 요소가 선행 문헌들에서 도출되었다. 세 가지 전환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행위자 기반 모델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든 전환 요인이 조직 지식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 다양성 증대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 전환 요인에 기초한 최적의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의 메타 데이터를 활용하여 메타 프런티어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는 지식 충돌과 대안의 재고의 조합이 가장 효율성이 높은 반면 지식 충돌과 조직 기억의 조합은 효율성이 가장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 연구인 "Effect of emerging technologies on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the use of big data analytics and online platforms"는 연구에서는 신기술의 활용이 조직 지식의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했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의 사용과 온라인 플랫폼 사용에 초점을 맞췄다.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기술이 집단 사고와 집단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본 논문은 상기 연구를 통해 조직 지식창출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조직 전략과 기술적 측면의 양질의 지식을 창출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전환 요인을 활용한 조직 전략 수립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활용과 온라인 플랫폼의 활용을 통해 사회기술적(socio-technology) 관점에서의 전략을 제시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39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2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