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Urban Farming in low-rise neighborhoods in Seoul : 서울시 저층지역 도시농업의 적용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Isabella Perez

Advisor
권영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urban farmingsustainabilitySeoulbuilding-based farminglow-rise neighborhoods도시농업지속가능성서울단독주택저층지역건축기반농업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20. 8. 권영상.
Abstract
The global urban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s such, cities face the challenge of balancing resource consumption with safeguarding our environment. One such resource is food. Agricultural products travel far from the harvesting site to the final consumer. This distance is cause for several issues such as high-energy consumption, increased food prices, vulnerable distribution chains, and loss of the collective memory of farming practices.

Recently, urban farming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to tackle these issues and achieve sustainability in cities. Urban farming has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It is highly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 strategy for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c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evaluated the potential for urban farming in low-rise neighborhoods in Seoul. Because land in Seoul is scarce and urban agriculture is a valuable tool for the resilience of residential communities, this research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building-based agriculture in low-rise neighborhoods.

To measure urban farming potential, this study built a model to determine the available area for farming, the sunlight intensity, and the water collection potential of a low-rise neighborhood. This study chose the neighborhood of Samseong-dong in Gwanak-gu as the site to base the model on.

The study measured building form variables (footprint area and building perimeter) and environment variables (rainfall and sunlight intensity) to model the urban farming capacity of the neighborhood. The research also calculated the impact of urban farming in the area in terms of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s from transportation and crop yield to satisfy dietary require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low-rise neighborhoods have great potential for the introduction of urban farming. They have sufficient available space on buildings (rooftops, walls, and railings) for farming. They also have sufficient rainwater harvesting capacity and sunlight intensity to grow a variety of crops. The results show that this kind of building-based urban agriculture can be useful to provide food for local residents, but has a limited impact on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s.
도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는 자원 소비와 환경을 보호하는 균형을 맞추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러한 자원 중 하나는 음식이다. 농산물은 수확지에서 최종 소비자로 멀리 이동한다. 이 거리는 고에너지 소비, 식량 가격 상승, 취약한 유통망, 농업 관행에 대한 집단 기억력 상실과 같은 몇 가지 문제에 원인이 있다.

최근, 도시 농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도시 농업은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이익이 있다. 도시재생과 스마트시티 개발 전략으로 한국 정부의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의 저층지역의 도시농업 가능성을 평가했다. 서울 토지는 희소하고 도시농업은 주거공동체의 복원력을 높이는 소중한 도구인 만큼 이번 연구는 저층 주거지역에 건축기반농업을 시행할 가능성을 평가했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저층 지역의 농경 가능 면적, 일조 강도, 빗물 수확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번 연구는 관악구 삼성동을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 연구는 건축 형태 변수(건축면적과 건축둘레)와 환경 변수(강수량과 일조 강도)를 측정하여 인근 지역의 도시 농업 능력을 모형화했다. 이 연구는 또한 CO2 배출량 감소와 연간 채소 필요량 측면에서 도시 농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했다.

이 결과는 저층지역이 도시농업 도입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층지역은 농사에 필요한 공간이 건물(옥상, 벽, 난간)에 충분하다. 그들은 또한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기에 충분한 빗물 수확능력과 일조 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건축 기반 도시농업은 지역 주민들에게 식량을 공급하기에 유용할 수 있지만 CO2 배출량 감소에는 한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41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5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