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다국적기업의 제한적 인력현지화 : Limited Staff-Localization of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정민

Advisor
권현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국적기업인력 현지화국가정체성의류산업해외법인인적자원관리multinational companiesstaff-localizationnational identityapparel industryoverseas subsidiaryhuman resource managemen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0. 8. 권현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국적기업의 인력 현지화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의 국가정체성이라는 자원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등의 신흥개발국가 출신의 다국적기업의 해외법인에서 인력 현지화 목표가 달성되지 않고 있는 현상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연구질문을 던진다. 첫째, 한국 출신의 다국적기업의 인력 현지화 목표는 어떠한 맥락에서 형성되는가이다. 둘째, 왜 인력 현지화 목표는 달성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해 국가정체성이 담당하는 기능은 어떠한가이다. 이 연구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출신의 다국적기업인 사례기업의 본사와 법인의 본국출신직원 13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다국적기업의 국제화 과정에서 인력 현지화 목표가 형성되는 환경과 이를 목표하는 본국출신직원의 인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선 인력 현지화의 정의와 다국적기업의 인력 관리 방식, 그리고 조직 맥락에서의 국가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력 현지화를 다룬 기존 연구의 정의를 따라, 본 연구에서도 인력 현지화란 다국적기업의 해외법인에서 현지인 관리자가 본국출신직원 관리자의 일을 대체하는 정도로 정의한 후 논의를 전개한다. 현지출신직원과 본국출신직원의 관리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각 인력의 역할과 사용의 의미를 집중적으로 다루지만, 이미 존재하는 인력 구조에 초점을 맞출 뿐 인력 구조를 바꾸려는 시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지 않는 한계를 보인다. 또한, 다국적기업의 국제화 과정에서 인력 관리 방식의 변화를 바라보는 기존 연구의 접근에도 다양한 이론적 흐름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조직맥락에서의 국가정체성을 제시한다. 국가정체성은 조직 내 개인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사회적이고 상징적인 자원의 하나로 사용된다.
한국 출신의 다국적기업의 상황에서, 사례기업이 속해있는 의류산업의 변화와 가치사슬 내의 위치 변화는 조직의 인력 현지화 목표를 비용절감전략의 하나로 접근하도록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압박의 상황에서 사례기업의 법인에서는 아직까지 주요 관리자 위치에는 본국출신인력만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한국인 주도적 관리자 구조는 여타 한국 출신의 다국적기업의 법인에서도 공고한 구조이며, 사례기업의 구조 역시 이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는 점에서 사례기업의 인력의 현지화가 높은 수준까지 진전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력 현지화가 사례기업 내에서 진전되지 않은 원인으로 사례기업의 국가정체성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다뤘다. 우선 개인들이 한국 출신의 다국적기업인 사례기업의 조직구조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국가정체성이 자격조건으로 요구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국가정체성은 낮은 수준의 인력의 현지화를 합리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현지인력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인력의 국가정체성 둘 다 인력의 현지화가 높은 수준에서 달성될 수 없는 이유를 합리화하는 기제로 활용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ocess of staff-localization of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he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as a factor influencing the process. This study starts from the phenomenon that the goal of staff-localization is not being achieved in overseas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from emerging countries such as Korea. To do this, the study deliver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is the goal of staff-localization of multinational companies from Korea formed? Second, why is the goal of staff-localization not fulfilled and what is the function of the national identity during the process? In order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3 parent country nationals from the corporate headquarters and a subsidiary of a Korean multinational company. It wa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the parent country nationals.
First, the definition of staff-localization,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were examined. Following the definition of existing studies dealing with staff-localization, in this study the staff-localization is defined as the extent that local managers replace the work of managers from home countries in the overseas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Previous researches on the management of local and native employees have a tendency to analyze on the role and use of each workforce while focusing on the existing structure and not trying to grasps the thoughts on attempting to change the structure. In addition,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exist in the approach of examining the change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during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f multinational companies. This study offers national identit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as one of the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se thoughts and perceptions. National identity is utilized as one of the social and symbolic resources that can be organized by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changes in the apparel industry to which the case firm belongs, and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alue chain of the case firm were influencing the organization's perception of the staff-localization goal as part of a cost-cutting strategy. Under these pressures, the key positions of the local subsidiary of the case firm were still filled with parent country nationals.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structures of other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are similar and soli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ff-localization level the case firm did not progress to a higher level.
Also,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case firm were discussed as the reason why the staff-localization has not progressed enough within the case firm.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national identity was required as a qualification in order for individual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a case company. Second, the national identity was used as a means to rationalize the low level of staff-localization. Therefore, the national identity of home country national and that of parent country national were both utilized in the mechanism to justify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achieve a higher level of staff-localiz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11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2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