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진·변한 목곽묘의 장례 현장 연구 : 'Funerary time-space' in Jin-Byeonhan Region: a Case of Body Subjectification and Social Reproduction
-신체의 주체화와 사회 재생산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진오

Advisor
김종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진·변한목관묘목곽묘장례 현장신체주체화훈육적 권력역동적 연쇄지식의 사회적 저장고사회 재생산Jin-ByeonhanWooden Coffin GraveWooden Container Gravefunerary time-spacebodysubjectificationdisciplinary powersemiosissocial stock of knowledgesocial reproduc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2020. 8. 김종일.
Abstract
목관묘군이 성행하던 진·변한 지역에서 기원후 2세기 후반 경 목곽묘의 출현은 탁월한 부장유물과 입지를 갖춘 대형묘의 등장으로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이는 목관묘 단계에 비해 더욱 계층화된 사회구조와 무력·경제력을 갖춘 강력한 수장권이 반영된 결과로 설명되고는 있으나, 무덤 자료를 사회구조가 반영된 그림자 정도로 간주함으로써 정태적이고 생명력 없는 설명에 그쳤다는 점에서 보완의 여지를 남겨두었다. 보완의 시도는 실제 물질문화를 만들었던 인간 주체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으며, 무덤에 반영된 의도를 추론하는 방식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고고자료로부터 특수한 의도를 추론해내기란 어려운 일이었으며, 능동적 개인의 의도를 장기적 변화와 연결시키기 어렵다는 한계 또한 보여주었다.
상기 연구들은 무덤 자료에 반영된 저 바깥의 다른 무엇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는 달리, 본 논문은 인간 주체가 있었던 장례 현장이었다는 시각에서 무덤 자료를 다룰 것을 제안한다. 장례 현장에 있었던 신체는 현장의 물질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특정한 지식을 지닌 주체로 주체化되며, 강압 없이도 주체가 특정한 방향으로 길러진다는 점에서 주체화는 훈육적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주체화는 인간 주체가 사물 객체를 만들고, 사물 객체는 또 다시 인간 주체를 만드는 연쇄 작용을 가능케 하며, 같은 세대 및 후속 세대의 주체들과 지식의 사회적 저장고가 공유·전승되는 방식을 통해 개별 주체의 생애를 넘어서까지 계속된다.
이 연쇄 작용은 앞선 사회적·물질적 조건이 여기서 수행된 주체화의 중개를 통해 후속 양상으로 나타나는 재생산의 과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2세기 후반 경 출현한 목곽묘의 여러 특징들은 신체의 주체화를 매개로 앞선 단계의 조건이 재생산된 결과이자, 이것 자체가 신체의 주체화를 통해 후속 단계의 재생산을 가능케 한 조건이었음을 제안하였다.
진·변한 전역에서 목관묘군은 구릉 말단부나 사면에 입지하였다. 무덤들은 대체로 좁고 깊은 묘광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탁월한 부장 양상을 보이는 무덤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부장품이 탁월한 일부 목관묘는 조성 당시 선축 무덤들과 어느 정도의 간격을 유지한 양상이 확인된다. 실용 철기들은 모두 제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부장되었으나, 일부 표비에서는 과장과 장식의 경향이 보이기도 한다. 2세기 후반 경부터는 탁월한 부장 양상의 대형묘가 조성된 목곽묘군이 출현했다. 탁월한 부장 양상을 보이는 무덤들은 묘광이 넓고 얕아졌으며, 표비 이외에도 형태가 과장된 철기와 토기가 다량으로 부장되었다. 특히 일부 유적의 경우는 대형묘가 주능선을 따라 배치된 양상도 확인된다.
목관묘는 좁고 깊은 묘광으로 인해 매납 현장에서 과시의 효과는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장지로의 이동 과정에서 장송 행렬을 통해 과시가 이루어졌을 수는 있다. 탁월한 무덤 주변의 넓은 공간은 매납 당시 많은 사람들이 묘광 주변에 있었음을 암시하며, 좁고 깊은 묘광의 특성은 묘광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의 공간 구분을 만들어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집단 간 구분을 체감하도록 장례 현장에 있던 신체를 주체화시킴으로써 특정 집단의 우위를 인정하도록 만드는 훈육적 권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주체들이 권위를 인정받은 자의 무덤 축조에 자발적으로 동참함에 따라 더 많은 노동력이 투입된 무덤 축조가 가능해졌고, 이는 2세기 후반 경 목곽묘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한편, 장지로의 이동과 내려 묻기에 대한 경험은 죽음을 이동 및 경계성으로 이해하도록 신체를 주체화하였고, 그 결과 실용도구이면서도 장식이 붙거나 형태가 과장되어 실제로는 사용할 수 없는 경계적 물건의 부장으로 이어졌다.
대형 목곽묘의 얕고 넓은 묘광, 과장된 유물, 과시적 매납, 장지로의 이동 과정에서 있었을 법한 퍼레이드 등은 특정 집단의 권위를 인정하도록 해당 현장에 있던 신체를 주체화하였을 것이다. 또한 주능선 정상을 따라 대형묘가 배치된 목곽묘군의 경우, 주능선 정상이라는 공간적 제약은 매납 현장에 입장 가능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공간 분리를 통해 집단 간 구분을 보다 강력하게 체감하도록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목곽묘 출현 이후 고총 단계까지 수장급 무덤에 투입된 노동력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훈육적 권력이 주체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계층 구분을 받아들여 무덤 조성에 참여하도록 만들었음을 암시한다. 이처럼 2세기 후반 출현한 목곽묘 장례 현장은 신체의 주체화와 지식의 사회적 저장고를 매개로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사회 재생산 과정의 결과이자 조건이었던 것이다.
좁고 깊은 목관묘에 칠기나 동경을 매납하며 장례를 치르던 집단이 다량의 철기가 부장된 대형 목곽묘를 거쳐 거대한 고총을 축조하는 집단으로까지 이르게 된 데에는 전쟁, 교역, 문화 전파, 기술 발전, 생산력 증대 등과 더불어 장례 현장에서의 신체의 주체화와 이를 통한 사회 재생산 과정도 기여한 바가 있었을 것이다.
The advent of Wooden Container Graves 木槨墓 from the late 2nd century in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olities of which were called Jinhan and Byeonhan in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ir expanded size, extravagant grave goods, and superior locations. These graves have generally been explained as representing greater intensification in social hierarchy and an emphasis on leadership based on military and economic power compared to the preceding period, but such explanations are static and lifeless, treating burial data as mere reflections of that which is abstract. Meanwhile, there have been some efforts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the human subject, who actually made the artefacts, by making inferences on the intention represented by the burial data. However, reading specific intention from material data is very difficult and it is not clear how one may explain long term history from individual intention.
The above mentioned approaches pay attention to something else out there, represented by burial data. On the other hand, I suggest that they can be approached as funerary time-space, which was inhabited by human subjects and where funerary practices took place. Human bodies were affected by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 time-space and subjectified in a specific way, which can also be called disciplinary power because it requires no violence or coercion. The mediation of subjectification enables the dynamic cycle of the subject makes the object, the object makes the subject, the subject makes the object again, and so forth. This cycle continues beyond the individual lifetime through the sharing and transmission of the social stock of knowledge.
This cycle is a process of reproduction, through which preceding social and material conditions enable the following situations, by the mediation of subjectification. In reference to this, I suggest here that features of the Wooden Chamber Graves from the late 2nd century were not only the reproduction of their preceding conditions, but also the conditions which enabled their following situations, by the mediation of human subjectification.
In the Jin-Byeonhan Region, Wooden Coffin Graves 木棺墓, which had been the common type of burial prior to the Wooden Container Graves, are located in groups on almost flat or slightly inclined slopes. They have quite uniformly narrow and deep grave pits, even those with superior deposited items. But the ones in which superior items were deposited maintained a distance from the earlier graves located nearby. Among the grave goods, weapons and tools were not modified from their practical forms, with the exception of some horse bits whose forms were modified in an ostentatious manner by adding decorations. In the late 2nd century, Wooden Container Graves of a superior nature emerged, which have shallower and wider grave pits, ostentatious and decorated weapons (in addition to horse bits), and large tools and potteries in large numbers, emerged. Some sites show a pattern in which superior graves were located along the top of a ridge.
The narrow and deep grave pit and plain grave goods of Wooden Coffin Graves may have limited the possibilities of display. But some display might have been possible during the funerary procession. The wide space that existed around the graves yielding superior artifacts implies the presence of many people during the interment process – a narrow and deep pit might have facilitated a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were close to the grave and those who were far from it. It could have subjectified the body into accepting the distinction, operating as a form of disciplinary power which led them to approve or accept the authority of others.
As these subjects offered their labour for the funeral of the approved authorities, the construction of graves with greater labour expenditure became possible, which enabled the advent of Wooden Container Graves in the late 2nd century. Meanwhile, the experience of a funerary procession and the lowering of the coffin might have subjectified human bodies into interpreting death as transition and liminality. It might have made bury tools and weapons with excessive ostentation but little practical utility, which are liminal.
The shallower and wider grave pit, ostentation, display, and parade during the funerary procession which took place at the funerary time-space of Wooden Container Graves might have also subjectified human bodies into accepting the authority of others. In the case of graves located on the top of a ridge, the limited space of the ridge could have made human bodies to accept the distinction in more intensified way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ones allowed to enter the burial place and the ones not allowed. After the advent of Wooden Container Graves the labour expenditure for chiefly graves continued to increase, which suggests that disciplinary power made human bodies to accept the social distinction and offer their labor. The funerary time-space of Wooden Container Graves in the late 2nd century was both the result and condition of social reproduction which operated in a long time scale through the mediation of human subjectification and the social stock of knowledge.
Along with war, trade, diffusion, technological innovation, productive capacity increase and many other factors, social reproduction through the bodys subjectification in a funerary time-space context might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long term historical process in which a society that buried its dead chief in a small grave pit with a few grave goods came to use a larger Wooden Container Grave, rich in grave goods, and became a society with much more laborious graves from then 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2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