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손', '수', '핸드'의 단어 형성과 연어 구성 연구 :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words and expressions of hand in the Korean langua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Pachina Veronika

Advisor
김창섭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어휘론의미론형태론신체어관용표현morphologysemanticssomatic wordsloanwordidiomatic expressionSino-Korean word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김창섭.
Abstract
본 연구는 신체 부위인 손을 가리키는 고유어 손, 한자어 수 그리고 외래어 핸드를 대상으로 이들이 단어 형성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각 언어 요소들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고유어 손은 다양한 의미 변화가 일어나 매우 많은 주변 의미를 지닌 다의어가 되었다. 자립 명사로 활발히 사용되는 고유어 손은 복합어의 단어형성소로도 많이 사용된다. 손이 어기로서 복합어 형성에 사용될 때에도 손의 다의성이 나타나는데, 손가락, 손바닥, 손목 등의 단어에서 손은 신체 부위를 가리키는 기본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일손에서의 손은 인간의 노동력을 의미한다.
반면 동일한 신체 부위를 가리키는 한자어 수(手)와 외래어 핸드(hand)는 아직까지 신체를 가리키는 자립 명사로서의 지위가 확고하지는 않다. 먼저 한자어 수(手)는 자립 명사로 쓰일 때에는 많은 경우에 어원 의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는 어원 의식이 흐려져 더 이상 한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발견된다. 특히 의존 명사 수가 그렇다. 한편. 수(手)가 신체 부위를 가리킬 때에는 보통 자립 명사가 아니라 단어의 어기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손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의미 확장을 보인다. 외래어 핸드(hand)는 한국어에서 자립 명사로는 사용되지 않고 복합어의 단어형성소, 즉 어기로만 사용된다. 본고에서는 고유어 손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수와 핸드에 대해서도, 그리고 그들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어들에 대해서도 어휘형태론적 연구와 어휘의미론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단어는 복합어 형성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연어(collocation)의 구성에도 참여한다. 손과 수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복합어 형성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연어를 구성하기도 한다. 하나의 복합어는 일반적으로는 내부에서의 변화가 용인되지 않지만 연어는 흔히 내부 변화를 허용한다(연어 코를 풀다의 예: 코를 풀었다, 코를 푸는 격이다). 연어도 복합어만큼은 아니지만 어휘부를 이루는 단위 항목의 성격을 일정한 정도로 가진다고 인정된다. 따라서 손, 수(手), 핸드(hand)가 어휘적 단위를 형성하는 것을 다루는 본고의 논의에 손, 수(手)의 연어 구성도 포함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장차 동일한 한국어에서 어떤 개념을 나타내는 형식에 고유한 것과 외래적인 것이 있을 때 이들이 한국어 어휘체계에서 어떻게 역할을 분담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기초 연구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words indicating hand meaning and show their usage in different expressions. The Korean language has three hand-meaning words: the native word son, Sino-Korean word su and a loanword haendeu.
The Korean word son has caused many conceptual transitions in many directions, and as a result, it has become a representative polysemic word among Korean nouns. Fore example, it is often used as part of compound nouns such as 'son + garak', 'son + badak', 'son + mok', il-son and others. In terms of semantics, the son in 'son + garak', 'son + badak', and 'son + mok' retain the basic meaning of 'hand'. However, in case of il-son it means human labor. We can see the same conjugation principles with the words su and haendeu, but the usage and the meanings of these words are different from son.
Additionally, the nouns son and su also became a bound nouns through grammaticalization. For example, one of the meanings of the son as a bound noun is a unit that counts the amount that can be held in one hand.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with haendeu.
The words son and su participate not only in a compound word formation, but also in a composition of collocation. Collocation is not as complex as a compound word, but it is recognized that it has a certain degree of character of the unit items that make up the vocabulary.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regarding son, su and haendeu and the formation of lexical units, will also include the collocation composition of hand and su. These words and collocations will be collected from modern Korean dictionaries and will be analyzed from morphological and semantic viewpoin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basic study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hree words and to find out how they share roles within the Korean vocabulary syste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5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8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