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부문의 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료포락분석(DEA)에 있어서 효율적 의사결정단위들의 순위분석 : Ranking analysis of efficient decision-making unit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sect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금록

Issue Date
2006-03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 44 No. 1, pp. 155-185
Keywords
자료포락분석순위분석초효율성잔여기준 초효율성지표Andersen-Petersen모형data envelopment analysis(DEA)ranking analysissuper-efficiencyslacks-based measure of super-efficiency(Super-SBM)Andersen-Petersen model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공공부문의 효율성을 측정한 국내의 주요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효율적 의사결정단위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효율적 단위들의 순위분석 여부를 평가하고, 효율적 의사결정단위들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Andersen-Petersen(AP)모형과 그 한계를 고찰한 후, AP모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잔여기준 초효율성지표(Super-SBM)를 제시하고, 이 방법을 사용하여 도시개발공사들의 효율성 순위를 분석했다. 자료포락분석에 있어서 효율적 의사결정단위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방사적 지표에 입각한 전통적 방법인 AP모형은 투입산출요소의 잔여(slacks)를 고려하지 않고 초효율성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자료에 따라 실행불능해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투입산출요소의 잔여를 직접적으로 처리함은 물론 실행불능해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비방사적 지표인 잔여기준 초효율성지표(Super_SBM)를 공공부문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적용함으로써 효율적 단위들의 순위를 결정하고 투입산출요소의 비효율성의 정도를 정확히 측정해야 할 것이다. 다수의 효율적 단위들 간의 효율성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 단위라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투입요소도 증가시킬 수 없다는 CCR모형 및 BCC모형과는 달리, Super-SBM모형을 사용하면 다수의 효율적 단위들 간의 효율성의 차이를 구분하여 효율적 단위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성이 높은 단위의 경우 일부 투입요소를 증가시키더라도 여전히 상대적 효율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경영개선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는 CCR모형이나 BCC모형을 사용하여 공공부문의 효율성을 측정한 기존 연구들의 시각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major previous studies of the non-parametric efficiency measurement of the Korean public sector allowed for a ranking of plural efficient decision-making units themselves, reviewed the radial measure of super-efficiency for ranking efficient units, suggested the non-radial slacks-based measure of super-efficiency(Super-SBM), and then performed a ranking analysis of the twelve metropolitan development corporations in Korea using the slacks-based measure of super-efficiency. Since the traditional method based on the radial measure, e.g. Andersen-Petersen (AP) model has the fundamental problems of measuring super-efficiency without taking account of the existence of slacks in inputs and outputs as well as of producing infeasible solutions in the presence of plural efficient unit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we need to measure the exact amount of efficiency and inefficiency of the public sector and rank many efficient units exactly through the slacks-based measure of super- efficiency founded on the non-radial measure, e.g. the slacks-based measure of efficiency( SBM), which has the advantages of dealing with input and output slacks directly. While CCR model and BCC model can't discriminate plural efficient units and don't increase the amount of inputs in efficient units, Super-SBM model can rank lots of efficient units and produce useful management informations that units remain efficient even if the amount of some inputs increase in highly efficient units with super- efficiency scores greater than 1. This will contribute to changing the perspectives of existing research that has measured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sector using CCR model or BCC model.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05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