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새마을 운동의 이론적 기초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해동

Issue Date
1974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12 No.2, pp. 30-47
Abstract
새마을 운동이 시작된지 불과 3년밖에는 안되지만 특히 농촌의 경우에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는 정부의 보고가 많이 나왔고, 그것이 어떠한 경로를 겪어서이든간에 이제는 국제적으로도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운동을 도시에까지 확대하여 이제는 범국민적인 사업으로 전개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정부는 1975년도의 예산에 막대한 자금을 새마을운동을 위하여 할당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사실상 농촌의 물리적 환경개선사업이 어지간이 성과를 거두고 다시 소득증대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기 시작하고 부터는 여러가지 난관에 부딪친 것 같은 인상이 불무하다. 더욱이 도시새마을운동에 있어서는 그 사업내용이나 종류면에서 초창기의 농촌에 있어서처럼 쉽사리 가열되지 못하고 있는 인상이다. 물론 이것은 도시사회가 지니는 여러가지 문제점, 자금, 도시주민들의 무관심, 생활관 및 기타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제요인에서 오는 것이라고 하겠으나 그것보다도 근본적인 이유는 새마을운동에 대한 기본적 개념의 정립이 없었고 따라서 그 목표와 범위에 대한 Concensus가 없었다는 점과 또하나는, 사업의 선정, 그리고 그러한 사업과 행정업무와의 관계 또는 국가행정상의 새마을사업의 위치등의 면에서 그 이론적 한계라든가 원칙이 없었다는 점이다. 특히 이러한 면은 도시새마을운동면에서 보다 더 뚜렷하게 엿보인다. 본고는 이와같은 점에 착안하여 현재 도시새마을사업이 당면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새마을사업의 이론적 기초를 구성할려고 시도한 것이다.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22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