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소아정신의학의 현황과 전망 : The Current Status and the Future of Child Psychiatry in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강의-
dc.date.accessioned2009-08-15T11:57:20Z-
dc.date.available2009-08-15T11:57:20Z-
dc.date.issued1979-12-
dc.identifier.citationSeoul J Med, Vol.20 No.4, pp. 323-332-
dc.identifier.issn0582-680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231-
dc.description.abstract소아정신과는 의학 전문분야중 가장 어린 분야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활동적이라 할 수 있는 미국 소아정신과를 보더라도 미국 소아정신과 학술원이 금년에야 겨우 제21차 년례학술회를 가졌던 것으로 대부분의 주요대학에서 소아정신과를 특수분야로 완전히 인정하여 하나의 독립적 규모를 갖추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현재는 미국내에 120여개의 인정된 소아정신과 수련소가 있고, 그 회원도 4,000여명에 달한다.
역사적으로 보아 미국소아정신과는 아동상담운동(child guidance movement)으로 시작하였고 역동정신의학이 그 중추를 이루었지만 한편으로 소아과의 임상 심리학 사회사업의 영향도 중요한 배경을 이루고 있다.
최근 10여년에 소아정신과는 아동상담 유형의 활동을 탈피하고 하나의 특수의학분야로 의학의 주류에 합류하려고 전력하였는데 이는 특히 각 대학의 소아정신과의 큰 과제이었다. 최근 소아 발달(child development)의 연구와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의 급진 및 뇌연구의 진전은 소아정신과가 과학적, 학술적 의학분야로서의 진전을 가능케 하였고 주류화 운동으로 그 어느때보다 다른 의학분과와 가까워졌다. 그 결과로 타과와의 연결 및 자문(lisison-consultation)은 두드러진 발전이다. 따라서 소아정신과 의사는 소아발달과 정신과 임상 경험을 배경으로 하고 발달도상의 소아들의 정서 및 행동상의 문제를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면을 종합적이고 전인적으로 다룸이 특징이라 하겠다(Tisza, 1975).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의과대학-
dc.title한국 소아정신의학의 현황과 전망-
dc.title.alternativeThe Current Status and the Future of Child Psychiatry in Korea-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ong, Kang-E M.-
dc.citation.journaltitle서울 의대 잡지-
dc.citation.journaltitle서울 의대 학술지-
dc.citation.journaltitleSeoul Journal of Medicine-
dc.citation.endpage332-
dc.citation.number4-
dc.citation.pages323-332-
dc.citation.startpage323-
dc.citation.volume2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