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모노크롬미술의 정체성담론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Identity Discourse of Korean Monochrome Painting from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진이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Citation
인문논총, Vol.63, pp. 115-147
Keywords
한국 모노크롬미술정체성담론탈식민주의오리엔탈리즘흉내내기혼성성백색무작위성비물질화Korean Monochrome PaintingsIdentity DiscoursepostcolonialismOrientalismmimicryhybriditywhitenon-artificialityno-materialization
Abstract
1970년대 한국미술계는 서구에서 수입한 서양미술을 한국에 토착화시켜 한국형 현대미술을 생산해내야 한다는 자각을 하기 시작한다. 한국적인 현대미술은 미술의 현대성과 한국성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므로, 당시의 한국미술 이론가들은 "전통의 현대화"라는 표어 아래 서구 모더니즘 미술과 한국의 전통문화를 접목하려 시도한다. 이런 맥락에서 1970년대 백색 모노크롬미술이라고 하는 단색조 회화가 한국형 현대미술의 전형으로 옹호되면서 집단적으로 융성하게 된다. 당시 백색 모노크롬미술을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구현하는 한국적인 현대미술로 옹호한 이론가들 가운데에는 이일, 오광수, 서성록, 김복영 등이 대표적이다. 이 이론가들은 모노크롬미술에 대한 전시서문, 전시평, 비평문, 논문, 저서 등을 통해 "백색.무작위.범자연주의.비물질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그 미술이 한민족의 문화정체성을 현대적으로 조형화해내었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이들 옹호론자들은 한국의 현대미술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1970년대 모노크롬회화라는 답변을 제시한다. 그들이 보기에 모노크롬미술은 한국에서 자생된, 최초의 한국적인현대미술의 전통을 수립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일, 오광수, 서성록, 김복영과 같은 모노크롬미술 옹호론자들이 그들의 글을 통해 주장
하는 바를 한국의 현대미술에 관한 "정체성담론"이라고 지칭하고자 한다.
그런데 정체성담론의 주창자들은 모노크롬미술의 자생성이나 순혈성에 대한 그들의 강조와는 달리, 자신들의 담론을 구성할 때에는 외래 이론의 영향을 혼성적으로 받아들이는 불일치한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
Korean Monochrome Painting of the 1970s is supposed to present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on the ground of asian union-naturalism. And it
is appraised to be the stereotyping of Korean modern art in both academic
and artistic practice in view of cultural nationalism. It is assumed that it
was occurred naturally in Korea without influences of other theories or
movements such as Minimalism, Modernism of the West, and Mono-ha,
Orientalism in Japan etc., in the context of Identity Discourse which
argued Korean Monochrome has special characters such as "white, non-artificiality(
artless art), no-materialization."
This thesis, however, aims to examine the Identity Discourse of Monochrome
Paintings from standpoint of postcolonial hybridity theory. It is
stated that the identity of colonizing subjects and that of colonized subjects
are complex, flexible, ambivalent rather than unit, fixed, homogeneous and
their cultural identity is formed through encounter of various layers of
cultures. Because of tha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Discourse and Mono-ha including Lee Ufans
concept and criticism which expropriated Nishida Kitaros Philosophy in
the light of Japanese Orientalism.
ISSN
1598-302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30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