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중앙도서관.박물관 소장 탁본 자료에 대한 종합적 검토(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동신-
dc.contributor.author강호선-
dc.contributor.author김우택-
dc.contributor.author박광연-
dc.contributor.author양혜원-
dc.contributor.author이재환-
dc.contributor.author정동훈-
dc.contributor.author홍기승-
dc.date.accessioned2011-11-01T08:26:20Z-
dc.date.available2011-11-01T08:26:20Z-
dc.date.issued2011-09-
dc.identifier.citation남동신, 201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중앙도서관.박물관 소장 탁본 자료에 대한 종합적 검토(I)' 201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en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44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보고서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중앙도서관.박물관 소장 탁본
자료에 대한 종합적 검토(1)」(고대.고려편)의 결과 보고이다.
2011년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중앙도서관 고문헌실, 박물관이 소
장하고 있는 탁본류는 총 1,288점으로 잠정 집계된다. 이들 자료는 조선 정조 때
규장각이 설치된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가 내지 정부 차원에서 수집하거나 개
인 소장가가 기증한 유물이다. 내용에 있어서도 한국 뿐 아니라, 중국과 몽골 등 해
외에서 수집한 희귀본, 귀중본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질적 양적으로 서울대학교 소
장 탁본은 최고의 탁본 컬렉션이자, 한국학 연구의 보고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연구자들이 이들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무엇보다도 탁본 자료가 3개 기관에 흩어져 있어서 이용자들이 검색하는
데 필수적인 종합 목록이 작성되어 있지 않았다. 탁본이 도서 분류 체계에서 독립
- xv -
된 항목으로 설정되지 않았으며 , 개별 유물에 대한 정보가 소략하거나 검색시스템
에서 아예 누락된 탁본도 적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중앙도서관 고문헌실, 박물관의 3개 기관별로 탁본 자료를 최
대한 검색하여서 탁본의 분류 명칭 하에 종합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둘째는, 동일한 금석문에 대한 탁본이 여러 본 있는 경우도 있어서, 자료 명칭만
가지고는 자료의 성격이라든가 사료적 가치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연구 자료로서의 학술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아울러 자료의 보존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들 자료에 대한 상세한 해제를 시도하였다. 기존에도 해
제내지 상세서지가 부분적으로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내용 해제를 전면적으로
보완할 뿐 아니라, 실물 자료로서의 형식적 특징에 대한 해제를 새로 추가하고, 나
아가 다른 탁본과 비교하여 善本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학 자료의 전
산화 작업이 광범위하게 진척되면서, 연구자들이 자료의 텍스트만이 아니라 자료의
실물 이미지에도 점차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바,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새로운
경향에 적극 부응하고자 하였다.
-
dc.language.isok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en
dc.relation.ispartofseries한국학 장기기초사업 기획과제en
dc.title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중앙도서관.박물관 소장 탁본 자료에 대한 종합적 검토(I)en
dc.typeArticleen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