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애담에서 드러나는 정체성 재현의 양상과 기제 -옛 역촌에 거주하는 반가 출신 여성의 경험과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 The Aspects and Mechanisms of Identity Representation Manifested in Narratives of Lifetime Experience - Focusing on the experience and self-awareness of a woman from a noble family residing in a Yeok-chon in old times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희진-
dc.date.accessioned2012-03-23T04:08:28Z-
dc.date.available2012-03-23T04:08:28Z-
dc.date.issued2011-12-
dc.identifier.citation한국문화, Vol.56, pp. 185-221-
dc.identifier.issn1226-83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5776-
dc.description.abstract인류학, 사회학, 여성학, 역사학을 막론하고 개인의 목소리를 통해 재현되는 개인 혹은 집단의 역사, 즉 구술사(oral history)에 관한 학계의 관심 증가는 이제 더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구술사는 과거에 대한 개인적인 기억의 환기 혹은 구술에 기반을 둔 역사서술로 정의된다. 뿐만 아니라 구술사는 생애사(life history), 자기 보고서(self-report), 개인적 서술(personal narrative), 생애 이야기(life story), 구술전기(oral biography), 심층면접(in-depth-interview)등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구술사의 한 영역으로 간주되는 생애사는 한 개인의 일생과 그 속에 존재했던 사건, 기억과 기록 등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며 구술 생애사(oral life history), 생애담 등으로 표현된다. 생애사와 생애담은 개인의 구술과 서사를 기반으로 한다는 에서 공통적이지만 그 범위와 특성에 따라 미묘한 구분의 경계에 놓이기도 한

다. 우선 생애사는 한 개인의 지나온 삶을 자신의 말로 이야기한 기록이며 행위자 또는 내부자의 관점에서 자기 문화를 표현한 것이라고 정의된다. 이 정의는

생애사가 구술자의 경험, 자신과 타자에 대한 관계를 주제로 하는 자기성찰적인 1인칭 서술이며 삶의 과정에 대한 해석을 보여주는 것임을 의미한다. 생애사가

자기 이야기(self stories), 자기 서사(self-narration)로 불리고 일회적인 일상적 의사 소통의 범주를 넘어서서, 인생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 그리고 주관적인 경험과 세계, 인생에 접근할 수 있는 핵심적인 통로의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는 것 또한 그 때문이다. 실제로 린데(Linde)는 구술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경험, 그리고 구술자의 세계관과 직접적 체험에 관한 구술을 자전적 이야기라고 정의한 바 있다.

Narratives of lifetime experiences are those which are composed by speakers based on their past memories.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lifetime experience narra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the identity which a woman from a noble family tried to compose and represent actively in the course of making narratives of her lifetime experiences. This study also has investigated the base of self-awareness from the wom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s which were created based on her identity and self-awarenes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factual aspects of identity representation which the woman shows in the course of making narratives of her lifetime experiences are concrete and substantial. These aspects are shown through the distinction of her birth place, her past social status, her economic affluence, her intellectual experiences such as rituals, everyday lives and learning that she went through as a landlady of a noble family, and her experience of leadership in other places. Such identity representation is highlighted when the superiority of her past social and economic status is emphasized. In particular, when an outside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s involved, her past experience stands out intensively. This is because the narrator from a noble family reorganizes her lifetime experiences in her own way, and makes use of such elements as principal bases. The narrator demonstrates her past valid social status and the difference resulting from the status in the course of making narratives of her lifetime experience. This act of the narrator expresses her will to intensify her self-awareness more strongly at this moment, and reflects the intention of reestablishing her own identity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others based on her past.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dc.subject구술 생애담-
dc.subject구술사-
dc.subject생애사-
dc.subject정체성 재현-
dc.subject역촌-
dc.subjectoral life history-
dc.subjectnarratives of lifetime experiences-
dc.subjectnarrative history-
dc.subjectbiography-
dc.subjectidentity representation-
dc.subjectidentity creation-
dc.subjectyeok-chon(역촌,驛村)-
dc.title생애담에서 드러나는 정체성 재현의 양상과 기제 -옛 역촌에 거주하는 반가 출신 여성의 경험과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Aspects and Mechanisms of Identity Representation Manifested in Narratives of Lifetime Experience - Focusing on the experience and self-awareness of a woman from a noble family residing in a Yeok-chon in old times --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Hee Jin-
dc.citation.journaltitle한국문화-
dc.citation.endpage221-
dc.citation.pages185-221-
dc.citation.startpage185-
dc.citation.volume5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