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칸트 『유작』(Opus postumum)의 시발점(Ansatzpunkt) -합본(Konvolut) IV의 23개 초기 낱장문서 (Die ältesten Lose Blätter) 문제를 중심으로- : The Starting-point in Kants Opus postumum ―About 23 of the Early Leaves of the Ⅳth Fascic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호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Citation
철학사상, Vol.37, pp. 149-181
Keywords
칸트칸트의 유작유작의 시발점합본 IV초기 낱장문서판단력비판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KantKant’s Opus postumumStarting-point in Kant’s Opus postumumThe IVth FascicleThe early LeavesCritique of JudgmentMetaphysical Foundations of Sciences
Abstract
『판단력비판』의 출간으로 한때 비판적 과업의 완성을 믿었던 칸트는 도대체 어떤 이유로 자신의 철학적 체계를 다시 세우는 마지막 저서를 준비하게 된 것일까? 다시 말해, 『유작』에서의 칸트의 문제의식은 도대체 어디로부터 생겨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그의 어떤 이전 작품의 문제들과 연관된 것일까? 칸트 󰡔유작󰡕의 시발점 문제는 바로 이 질문들에 관한 논의이다. 그런데 이 시발점 문제는 이미 현존하는 『유작』 편집의 역사 속에 이미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 대표적 예는 『유작』의 가장 오래된 문서들로 알려진 합본 IV의 23개 낱장문서들의 편집문제이다. 본 논문에서
는 이들 23개 낱장문서 중 5개만을 『유작』에 포함시킨 아디케스 연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작』에서 칸트의 문제의식의 출발점을 추론해 보고자 한다. 또한 『유작』의 시발점을 『판단력비판』에서 찾았던 레만(Lehmann)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유작』 해석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1790, in the preface to his Critique of Judgement, Kant had written: With this then, I bring my entire critical undertaking to a close. Yet, later, Kant mentioned a gap in the critical philosophy, which now stands open will be filled. Why has Kant, then, tried to reconstruct his system of critical philosophy? Why has Kant decided to engage in another major work, especially the
Transition-Project in his opus postumum? In other words, where is the opus postumum located in the context of Kant's other writings?
The issue of the starting-point in Kant's opus postumum is concerned with these questions. However, this issue of the
starting-point in Kant's opus postumum was already applied to the history of editions of Kant's original manuscripts. A typical example is the early 23 leaves of the IVth fascicle.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Adickes' research, which excluded 18 leaves of the IVth fascicle from "Vorarbeiten" to the
opus postumum, and from this I tried to infer the 'starting-point' of the opus postumum.
ISSN
1226-700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58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