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호주관적 명증의 발생과 타당성의 문제 : On the Genesis and Validity of Intersubjective Evid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영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Citation
철학사상, Vol.43, pp. 219-255
Keywords
명증상호주관성타당성발생진리evidenceintersubjectivityvaliditygenesistruth
Abstract
이 논문은, 먼저, 개별 주체의 진리 체험에 관해 기술된 후설의 명증 이론이 후설의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을 토대로 상호주관적 명증이론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논하고,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상호주관적 명증이 발생과 타당성의 관점에서 각기 어떠한 성격을 지니는지를 주관적 명증과의 관계하에서 규명한다. 후설의 명증이론이 상호주관적 명증이론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설의 명증이론이 절대적이고 불변하는 진리 개념과 관계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확증과 폐기의 양상화를 거칠 수 있는 열린 진리 개념과 관계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야 하고 (2.1, 2.2), 후설의 현상학이 타자의 존재 정립과 상호주관적 경험의 가능 근거를 해명할 수 있다는 것(3.1, 3.2)과 더불어 후설의 현상학이 그저 하나의 의식철학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생활세계 속에서의 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를 이미 주제화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야 한다(3.3).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후설의 여러 저작들에 나타난 텍스트들에 토대하여, 상호주관적 명증이 그 발생과 타당성에 있어서 주관적 명증들과 어떠한 관계를 지니는지를 해명한다(4). 타당성의 관점에서 주관적 명증은 언제나 상호주관적 명증에 우선하지만, 발생적 관점에서는 그 원초적인 형태를 제외하고는 대개 상호주관적 명증이 주관적 명증에 우선한다. 그리고 상호주관적 명증은 발생의 측면에서는 주관적 명증의 발생에 암묵적인 지평의 기능을 담당하는 한편, 타당성의 측면에서는 주관적 명증에 토대한 인식이 폐기되거나 확증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여러 상이한 생활 세계에 토대하는 서로 다른 상호주관적 명증들은 상호 간의 영향을 주고받으며, 무한히 열린 지평 속에서 더 높은 단계의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학문공동체는 열린 진리 모델에 따라 끊임없이 자신의 이론을 수정하고 변화시키면서 이념적 진리에 접근해가게 된다. 따라서 탁월한 지향적 체험으로서의 명증의 대상적 상관자인 진리의 모습 역시 고정되어 있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으로 형성되어 완성된 절대적 진리의 이념을 향해 부단히 변화하면서 전진해가는 모습을 띠게 된다. 그리고 후설 현상학을 통해 도출해낼 수 있는 이러한 진리 모델의 윤곽은 진리 경험이 주관적 차원을 넘어 어떻게 학문 공동체가 공유할 수 있는 진정한 학문성을 지닐 수 있게 되는지를 말해준다.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Husserls theory of evidence, which mainly concerns an individual subjects truth experience, can be
extended to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evidence on the ground of Husserls phenomenology of intersubjectivity. And then, I will elucidate how intersubjective evidence can be characterized in the perspective of genesis and validity, respectively, in relation to subjective evidence. In order to claim that Husserls theory of evidence can be extended to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evidence, the following must be proved: 1. Husserls theory of evidence insists that truth is not absolute and fixed but open to modification of confirmations and disuses(2.1, 2.2). 2.
Husserls phenomenology can elucidate how we can recognize that the alter ego exists and how we can have the same experience with the alter ego, namely intersubjective experience(3.1. 3.2). 3. Husserls phenomenology is not just a philosophy of consciousness but already has considered the problem of linguistic communication in the concrete life
world(3.3). After proving the aforementioned issues, I will elucidate the characteristic of intersubjective evidence in relation to subjective evidence(4). My conclusion is as follows: In the perspective of validity,
subjective evidence always has priority over intersubjective evidence.
However, in the perspective of genesis, intersubjective evidence mostly has priority over subjective evidence except in the case of its primordial genesis. Here, intersubjective evidence helps subjective evidence confirm or discard itself. And having influence on each other, various
intersubjective types of evidence founded by various life-worlds obtain new meanings in the endless open horizon. In this process, the science community approaches ideal truth by changing and correcting its theory
according with the open truth model. Accordingly, truth as an objective correlator of evidence which is outstanding intentional experience is not fixed but formed socially and historically, and it makes progress toward the idea of perfect and absolute truth. This truth model drawn from Husserls phenomenology makes it understandable how evidence can be true scientific experience that can be shared by the science community.
ISSN
1226-700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60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