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혹산도의 친척: 큰집 과 내롱 을 중심으로 : The Kinship Structure in Huksan Islands: 'Kunjip' and 'Nero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창민

Issue Date
2001
Publisher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Citation
비교문화연구, Vol.7 No.2, pp. 37-62
Keywords
친척친족조직흑산도내롱작숙
Abstract
이 연구는 흑산도의 한 어촌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친척을 연구한 민속지 연구다- 연구자는 조사 마을의 친척을 통하며 친척조직의 지역적 한 유혈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친척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새로운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생태적 경제적 조건에 대한 적응의 결과물로서 조사마을의 친척조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마을에서는 제사가 장남에게 상속도|지 않고 마을에 남아 부모와 함께 생활한 아들에게 상속된다는 점이다. 조상의 신위인 기성은 큰집 에만 모셔지기 때문에 장남이라도 분가하면 제사를 모실 수 없게 된다. 장남 분가는 연구 마을의 생태적 환경의 결과물이다. 열악한 경제환경으로 연구마을은 많은 수의 인구를 부양할 수 없어서 인구 유출 압력 크다. 뿐만 아니라 마을 공동재산에 대한 권리 확보를 위해서 장남 분가를 하는 것이 더 적응적이다. 이런 조건 때문에 장남은 분가하여 마을을 떠나고 남은 아들이 남아 가계를 계승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둘째, 연구마을에서는 내롱 이라고 하는 친족조직이 중요한 사회 단위로 기능하고 있다. 한 아들만 남고 나머지 아들은 분가하여 마을을 떠나는 관행으로 마을에 남아 없는 사람들의 친척관계는 상당히 멀다. 8촌 이내의 혈족의 수가 적기 때문에 당내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종손이나 종가의 개념도 없어 문중이 형성되지도 못하고 없다. 이 상황에서 같은 파에 속한 혈족들로 구성된 내롱 은 먼 친척을 가깝게 인식하게 하며 친척집단이 수행해야 하는 여러 역할을 담당하는 단위로 기능하고 있다 내롱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시제를 모시는 것이다 문중이 없기 때문에 시제는 내롱을 단위로 순환하여 모신다. 그리고 개인 책임을 지는 제사는 점차 내롱이 책임을 지는 시제로 전환되어 일찍 제사를 중단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즉, 큰집의 중요성은 줄어드는 반면 내롱의 역할은 증대하고 있다.

셋째, 연구마을에서는 작숙, 오춘과 같이 먼 친척을 가까운 친척으로 인식하게 하는 문화적 장치들도 발달해 있다. 이는 내롱이 먼 친척을 가까운 친척으로 인식하게 하는 경향과 같은 맥락이다. 나아가 작숙은 친척이 반드시 혈족만으로 구성되지 않고 인척관계에 있는 사람까지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마을에 살고 있는 혈족의 수는 적은 반면 인척의 수는 많기 때문에 이들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관행이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s an ethnographic study of a village in Huksan Islands to analyze kinship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offer a case for generalizing Korean kinship system by understanding a local type kinship system in my village. I think of kinship system of my village as a result of ecological and economical ada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drawn as follow.

First of all, Jesa which is ancestor worship serviced annually at the death day is not inherited to one's eldest son but to one of his son who has lived with him. Because memorial tablets are enshrined in ancestor worship room which is located only 'Kunjip' , inherited house, the eldest son who set up a separated family can not hold Jesa. The fact that the eldest son set up a new separated family is a result of ecological adaptation. There are small land and scarce resources, the village could not support many dwellers and it is adaptable to leave elder son his parent family early.

Secondly, 'Nerong', which is one sort of kin groups works as a very important social unit. The size of patrilineal descent group is very small and kinship relation is relatively far, neither Dandnae nor Munjung is organized in my village. In this situation Nmmg which is composed of the members of a branch of Munjung functions as a kin group.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Nerong is to serve Sije.

Thirdly, relatively far removed kin are regarded as near of kin by kinship terms like 'Jaksuk', 'Ochun'. It is same context of 'Nerong'. Nerong also regards far removed kin as near of kin. And Jaksuk is a case to insist that kinship is not consist of consanguine only but consist of relatives also. In my village, the number of consanguines are small but relatives are abundant, so it is necessary to obtain cooperation from relatives. In this context, it is appreciated that such cultural elements like Jaksuk are cultural adaptation.
ISSN
1226-056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92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