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필리핀 친족의 양변성과 '집단' 만들기 : Bilaterality and Making 'Group' in the Philippine Kinship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Citation
비교문화연구, Vol.8 No.2, pp. 3-36
Keywords
양변친족Bilateral Kinship친족집단Kinship group친족용어Kinship Terminology필리핀The Philippines따갈로그Tagalog
Abstract
필리핀처럼 부계나 모계도 아니며 혈통집단을 구성하지 않는 사회 의 친족을 어떻게 정의하고 분류할 것인지는 인류학 친족이론의 오래된 논쟁거리였다. 비단계로 친족을 인식하는 사회와 협동집단을 구성하지 않는 사회는 서로 혼동되었으며, 동일한 사회와 친족에 대해서도 "양변 (bilateral)", "공계(cognatic)", "선계(ambilineal)" 등 각기 다른 표현이 사용되곤 하였다. 양변성은 모든 친족 인식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주변적으로 다뤄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친족이론의 고전적 연구 관심이 혈통집단의 구성원리와 규범에 치중하였기 때문이다. 부계 혈통집단이 친족연구의 중심이 되는 한국 인류학계에서는 특히, 비단계 혈통이나 혈통집단을 구생하지 않는 사회에 대한 연구관심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 글은 필리핀을 사례로 양변친족의 원리와 사회적 의미를 제시하고 양변친족에서 논쟁의 중심이 되는 친족집단 형성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양변성은 친족의 범주를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정의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영속 집단을 형성할 수 없는 원리이다. 그러나 필리핀의 사례는 친족집단을 형성하기 위한 혈통 규범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친족관계가 인간관계의 주요 자원이자 도덕적 상징으로 활용됨을 보여준다.

이 글은 먼저 단계혈통이 아니거나 혈통집단을 구성하지 않는 친족에 대한 용어를 검토하고 필리핀을 위시한 동남아의 친족을 양변친족이라는 용어가 적절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어서 필리핀 따갈로그(Tagalog) 친족용어를 통해 양변성의 원리와 그 사회적 의미를 고찰하고, 친족 '집단'형성의 맥락을 지역에 기반하는 경우와 지역을 초월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다. 끝으로는 필리핀 사회에서 양변친족이 인간관계의 자원으로 사용되는 맥락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major arguments on the bilateral kinship and to analyze the character of bilaterality through kinship terminology and the context of making kinship 'group' in a Philippine rural village.

I start the paper with a review of several exemplary terms for describing non-lineal or non-descent society such as "ambilineal", "cognatic", and "bilateral", in the leading works of anthropoalogical kinship studies. And I argue that "bilateral kinship" is a suitable term for kinship in Southeast Asia including the Philippines.

Bilaterality is ego-centered and treats paternal and maternal sides equally. That is the reason why it cannot be the norm of consisting kinship group like descent. Tagalog kinship tenninology shows that bilaterality includes other features, such as indifferent tendency to sex distinction, shared status between spouses, emphasis on affines especially connected through siblings.

These extended features from bilateral logic are precisely applied to the context of making kinship 'group' in Philippine rural society. This paper presents two examples of kinship groups based on locality and beyond locality. Others recognize the former as a group in a village, through members' cooperative interactions in various fields and everyday life.

There is also an unintentional and indirect strategy, like in-marriage, to solidify the group. The latter is a voluntary group built up through regular occasions such an annual "family reunion". In this case, the continuity of the group deeply relies on core members' donating activities. In both, however, the progenitors are both-sex-sibling groups and spouses share the other's membership.

Bilaterality cannot be the norm of forming corporate group but extends the boundary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be considered relatives. It is a paradoxical way in which kinship become an important symbol and mechanism in Philippine society.
ISSN
1226-056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92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