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바(Java) 사람들의 치안관행과 도둑잡기: 자바 사회의 영토성에 관한 소고 : Maintaining Public Peace and Catching Thieves: A Reflection on Territoriality among Javanese Villag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윤미

Issue Date
2006
Publisher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Citation
비교문화연구, Vol.12 No.2, pp. 93-122
Keywords
자바Java영토성Territoriality치안Public Peace도둑Thief군중재판Lynching
Abstract
자바(Java) 문화 속에서, 그리고 인도네시아 문화 전반 속에서 도둑에 대한 몰매 때리기 식 군중재판 관행은 전혀 낯선 일이 아니고 전혀 부도덕한 일도 아니다. 이 군중재판 관행을 인도네시아어로는 마인 하낌 슨디리(main hakim sendiri)라 부르는데, 말 그대로를 번역하자면제 맘대로 재판관 노릇을 한다는 뜻이 된다. 군중재판 관행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인도네시아인들이 자율적으로 행해온 관습법일 뿐 아니라, 과거 인도네시아 각지의 전통 왕국들이 법령으로써 재가한 행위였고, 또한 17, 18세기 식민시대의 법령에도 명시적으로 용인된 행위였다. 일례로, 18세기와 19세기에 기록된 바 있는 자바의 법령들은 도둑 잡기에 동참하지 않는 마을 주민을 벌금형에 처하도록 하고, 도둑잡기 과정에서 대항하는 도둑은 아예 없애버리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살해당한 도둑의 가족은 사건을 고소하지 못하도록 못박고 있다(Roorda 2002).

이렇게 도둑에 대한 군중재판이 인도네시아나 자바 사람들의 전통과 문화 속에 매우 낯익은 관행임에도 불구하고, 권위주의적 정부 하에 비교적 안정된 사회질서를 구가했던 신질서 시기 동안 군중재판 사건은 그다지 자주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보고된 사례도 한정적이다. 제이(Jay 1969: 299-302)가 자신의 조사지였던 동부 자바의 한 마을에서 발생했던 사건을 보고한 바 있고, 시걸(Siegel 1986: 41)도 1980년대 자바의 수라까르따(Surakarta) 지역에서 발생했던 한 사건을 보고한 바 있다. 또 콜롬바인(Colombjin 2002: 314-316)은 인도네시아 시사주간지 템포(Tempo)를 비롯한 많은 문헌들을 인용해 과거 식민시대부터 인도네시아에서 벌어졌던 도둑에 대한 군중재판 사건들을 정리하고 각 종족별로 관련 관습법 조항들을 고찰한 바 있다.

In this paper, I explore a Javanese cultural practice, main hakim sendiri, the practice of lynching petty criminals. Based on the ethnographic data collected through the field research in Klaten from 2001 to 2003, I argue that this practice should be seen as villagers claim for territoriality and as an arena for competing territorial power between villagers and the state.

Village territory constitutes a sphere of power. The Javanese villagers are eager to manage their territory and use the customary village law called adat in the process of territorial power struggle. Various expressive forms of Javanese hatred against thieves and diverse strategies for security maintenance, including the practice of lynching petty criminals, manifest themselves within the context of their struggle over territorial power. The main hakim sendiri cases constitute Javanese response to the damaged territoriality and, at the same time, their claim for territoriality.

A sharp increase in the main hakim sendiri cases in the Era of Reformation, post‐Soeharto period,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territoriality. Ethnographic data show that the Javanese mechanism of territorial defense tends to be strengthened when the villagers sense any kind of threat on their territory. In this respect, the national crisis caused by political and economic instability in this era can be said, in village level, to represent a threat to the villages territoriality and consequently activated the mechanism of territorial defense. Therefore, lynching practice occurs explosively.

On the other hand, the main hakim sendiri cases involve some tension between the state sovereignty and the villages autonomy which is identic with the adat law. Therefore, the increase in the main hakim sendiri case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truggle for territorial power between villagers and the state. The villagers busily claim for territoriality on the momentum of the states vulnerability.
ISSN
1226-056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95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