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가와 종족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 조선족의 종족정체성: 대련시 조선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State and Ethnic in Korean-Chinese School of China: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Dalian Korean-Chinese Schoo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Citation
비교문화연구, Vol.16 No.2, pp. 151-193
Keywords
중국 소수민족Ethnic Minorities of China국가State종족Ethnic교육Education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
Description
본고는 연구자의 석사논문(이정은 2009)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내용을 담고 있다.
Abstract
중국 내에서도 특히 조선족과 같은 과경(跨境) 종족(種族)은 이주 전의 고국과 이주 후의 모국이라는 이중적인 국가 정체성이 함께 작용하는 독특한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선족은 비교적 최근에 중국으로 이주하면서 이주 초기에는 이주민 혹은 이민자라는 위치에 있다가 중국공산당의 민족식별(民族識別) 단계를 거치면서부터 새롭게 형성된 소수민족이라는 정체성을 부여 받으면서 다양한 측면의 영향을 받아왔다.

본 논문이 기존 논의와 차별점으로 삼고자 하는 것은 조선족 정체성을 단지 조선족만의 개별적 역사 속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중국의 사회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시각을 함께 던지는 데에 있다. 국가차원의 국민 만들기라는 강한 영향과 조선족 종족정체성의 역동적인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이라는 국가 맥락 안에서의 종족성이 갖는 정치성을 함께 발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논의에서는 조선족 정체성에서 고국인 한국에 대해 느끼는 감정의 원근법이 조선족의 종족 정체성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소라고 오해할 만한 도식을 피하고자 한다. 정체성의 유연함이나 유동성 혹은 변화가능성들은 중국(혹은 모국)스러운 것이라는 상상과 한국(혹은 고국)스러운 것이라는 양 끝을 가진 스펙트럼 사이의 표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양한 맥락들을 나름의 방식으로 정의하고 오고 가며 경계를 설정해 가는 다층적인 행위 자체에 있는 것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조선족의 정체성을 중국이라는 국가 안에서 주류인 한족(漢族)과의 관계, 타 소수민족과의 관계, 한국 또는 한국인과의 다양한 관계와 조우 속에서 경계를 만들고 정체성의 결을 다듬는 과정으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조선족 자치 주 인구가 감소하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잡거지구로의 조선족 이주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국 국가민족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조선족 농촌인구가 연해지방이나 동북의 도시로 이동하는 비율은 한족과 타 소수민족의 전체인구대비 이동인구 비율보다 현저하게 높으며, 이러한 현상은 꾸준히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최우길 1999). 이는 중국 내에서도 조선족이 상대적으로 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시대의 조선족의 이해에 있어서는 분리된 (혹은 분리된 것으로 보였던) 조선족 자치주나 집거구의 조선족 사회만을 연구하는데 그치거나, 균질하거나 균질한 것에 가깝다고 판단되었던 일원적인 조선족 정체성만을 논하는 것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사회의 변화 속에 더욱 다층화된 조선족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오늘의 조선족을 이해하는데 보다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of state' and ethnic' in China with a focus on Korean-Chinese School.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the members of Korean-Chinese School deals with official education and position themselves in the Chinese society. The students and teachers of Korean-Chinese School do not merely accept the official content of education, but modify or resist against it in various ways in everyday life.

The relation of state-ethnic' through the scope of Korean-chinese school is not always contradict but is articulated flexibly through Korean-Chinese Identity formation. Korean-Chinese show the relation of state-ethnic' as competition neither as logic of subversion nor emancipation. The relation of state' and ethnic' is not a dichotomy between two different things. It is an issue of

process' that is affected by complex of various values, Chinese society, and socio-cultural context. In doing so, this process' reveals diverse aspects of identity formation of Korean-Chinese.
ISSN
1226-056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95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