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수현의 암산(巖山) 산수화 성립배경 : The Background to Rho Suhyeon's Rocky Mountain Landscape Painting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중희

Issue Date
2011
Publisher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Citation
Form archives, Vol.3, pp. 7-36
Keywords
Roh Suhyeonmodern landscape paintingrocky mountain landscape paintingidealized landscape paintingrebellious spiritoneness of man and nature노수현근대 산수화암산 산수화이상 산수화반골정신자연합일
Abstract
The modern era saw three landscape painters, namely Yi Sangbeom, Byeon Gwansik, and Rho Suhyeon, emerge as the disciples of the late Joseon–era traditional landscape painters Jo Seokjin and An Jungsik. ese individuals can be characterized as painters who despite having been born during the final period of feudal Joseon and having gone through periodic upheavals such 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ontinued to adhere to the traditional painting style. While the other two painters had a proclivity for rendering realistic landscapes based on the free use of brush strokes, Roh Suhyeon (1899–1978) stands out for his non–realistic, idealized landscape paintings featuring rocky mountains that were rendered using only limited free brush strokes and detailed depictions with colored ink.
Although he had painted idealized landscape paintings from the final period of Joseon onwards, Roh adopted a more realistic depiction style from the 1920s onwards. He also actively studied western painting styles during the 1920s. As a result, his paintings exhibited the realistic depiction of objects. On the other hand, Roh consistently painted rocky mountains, while avoiding earthy ones. In this regard, the reason for Rohs proclivity remains unknown. When viewed from a superficial standpoint, Rohs rocky mountain landscape paintings can be perceived as depicting idealized landscapes. However, each object is depicted in a manner that is meant to make it look as realistic as possible. Rocks are so voluminously depicted that one almost feels as if he or she were looking at a scenery painting. Meanwhile, the sense of space evident in the manner in which the mountains overlap creates the impression that it was rendered based on a painting style that is rooted in a Western view. Nevertheless, the painting as a whole creates an idealistic landscape which is impossible to find in reality. Rohs persistent painting style was initially rooted in his strong awareness of tradition.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s depicted idealistic landscape in which man and nature achieved oneness in deep mountains and valleys that were free from the secular world. Rohs choice of rocky mountains was also related to his personality. Roh, who possessed a rebellious spirit, exhibited a strong anti–Japanese consciousne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was an upright–minded type that adhered to tradition and refused to negotiate with the outside world. Rocky mountains can be regarded as a good subject for a person possessing an upright, integral personality. In this regard, Rohs landscape paintings featured the use of a painting style which helped to create an atmosphere of clearness filled with clean and transparent air. Roh depicted rocky mountains in a manner that left those who beheld his work to conclude that he desired to become like these rocks. Under the theme of dokyacheongcheong(獨也靑靑, A lone evergreen as white snow covers the entire world), he also depicted a lofty pine tree standing alongside a rocky mountain. Roh always emphasized the following to his disciples, Man is the most important being in the universe. e mind (心) is of great importance to man, for it is only when his mind is clear that mans paintings can also be clear.

전통적인 회화는 두말할 것도 없이 산수화가 그 중심에 있었다. 인류 역사상 대변혁기인 근대를 맞이해도 전통회화의 중심은 역시 산수화였다. 그것은 조선 말기에 전통화를 대표하는 조석진(趙錫晉, 1885–1920)안중식(安中植, 1861–1919) 같은 산수화 대가들이 존재했던 것에 연유한다. 그렇지만 이들은 모두 1920년까지 작고하고, 그 제
자들이 산수화 맥을 이어가고 있었다. 근대 산수화 3대가로 지칭되는 이상범(李象範, 1897–1971)변관식(卞寬植, 1899–1976)노수현(盧壽鉉, 1899–1978)이 그 중심에 있었다. 전통화로서 한국 근대 인물화는 일본화의 절대적 세례를 받아 형성되었던 것에 비해서 산수화는 우여곡절의 시대환경 속에서도 소수 정예작가에 의해 형성된 귀중한 회화 장르라 할 수 있다. 서양화법의 범람, 획일화된 화풍의 국전 전성기 등 시대적 급변 속에서 탄생하였기에 고난사를 가진 회화라고도 볼 수 있다. 근대 산수화를 선도적으로 창출한 3대가는 공통적으로 봉건 조선 말기 산수화의 맥을 이으면서 일본강점기 이후 현실적 시각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혁신적인 새로운 화풍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근대의 산수화가 어떤 성격을 가졌을까? 원래 산수화라고 하면 산수라는 대상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고유의 이념성이 존재한다. 근대 산수화를 논할 경우, 전통성과의 관련성 여부가 최대의 관심사가 되지 않을 수 없고, 현실시각의 산수화로서 그것이 서양화의 풍경화와의 차별성 여부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산수화의 성격을 논함에 있어서 핵심사항은 역시 작가이념 즉 그림의 주제성에 관한 것이다. 근대 산수화 3대가들은 비록 현실시각을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겉보기에는 풍경화와 유사한 화풍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표현내용에는 서양적 시각에 의한 풍경화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화풍을 보이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수묵선묘를 고수하고 있는데, 작품내용에서는 어떠할까? 이상범(李象範, 1897–1972)은 특정지역을 사실적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누가 봐도 인정할 만한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주변 산야를 나타내었으며, 변관식(卞寬植, 1899–1976)은 역동적인 구도의 금강산 풍경이나 파노라마처럼 전개되는 농촌풍경을 다소 이상경(理想景)으로 환원시키고 있다. 그림 주제에서 이상범은 염소(村老)가 땅에 밀착하여 욕심 없이 살아가는 모습 즉 자연과 합일된 삶을 나타내고, 변관식은 현실자연을 선경(仙境)으로 승화시켜 그곳에 귀의하려 한 모습이었다. 곧 이들 두 화가는 이념성에서 산수화 본래의 전통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리고 재료에서는 두 사람 모두 활기찬 수묵필치 구사로 가히 묵필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
1986년 6월 24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교수이자 국립현대미술관장인 김세중(金世中)이 타계하자 중앙일보 이규일(李圭日) 기자는 그에 대해 인화(人和) 앞세운 미술계의 외교관이라 부르며 그를 추모하는 기사를 남겼다. 김세중의 후배이자 제자이기도 했던 최종태(崔鍾泰) 역시 추모의 글을 통해 그에 대해 엄격하신 예술가로서, 자상하신 교육자로서, 탁월하신 행정가로서 매사에 원칙을 바로 세우시고 옳은 일이라 판단되실 때는 물불을 마다치 않으셨으며 각계각층의 수많은 선배 후배들에 대해 고르게 마음 쓰시는 참으로 큰 틀을 타고나신 드문 스승2으로 기억했다. 사회적으로 존경을 받던 사람이 타계했을 때 대체로 그의 인격과 행적을 예찬하는 것이 인지상정이지만 앞의 두 글을 통해 김세중은 예술가일 뿐만 아니라 교육자였으며 또한 행정가였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그는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국전이라 부름)에서 특선을 하며 데뷔하여 평생 조각가로서 작업에 매진했고, 1954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전임강사로 부임한 이래 타계할 때까지 교수로 재직한 교육가였다. 또한, 3대에 걸쳐 서울미대 학장을 역임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을 거쳐 국립현대미술관장으로 재직하다 타계하였으므로 미술행정가로 부르더라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김세중에 대한 평가는 예술가로서 그의 창작활동, 대학교수로서 교육발전을 위해 벌인 노력과 그 성과, 미술행정가로서의 업적, 이 세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이 김세중의 삶과 예술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의 관계 속에서 재조명하는 것에 있는 만큼 그의 수업시대를 출발로 그가 생전에 이룩한 업적을 교육과 작품으로 나눠 고찰하고자 한다.
ISSN
2093-12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37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