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소설의 원형적 텍스트로서의 『도장』(道藏) 연구 시론 : A Study on Daozhang as a Prototypical Text of a Classical Nov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13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Citation
인문논총, Vol.69, pp. 447-476
Keywords
『도장』(道藏)도교도가적 상상력고소설비교서사학서사적 원형Daozhang(道藏)TaoismTaoist imaginationclassical novelcomparative narratologynarrative prototype
Abstract
Daozhang, which is a series of Taoist books and scriptures, is not only a treasure house of enormous thoughts and stories but also a book on religious thought. It has different kinds of images and imagination systems, and also talks about oriental philosophical experiences and the facts of life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 narrative imagination of Daozhang represents much, as an origin of literary imaginations. Studies on Korean Classical Novels hav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aoism and Taoist imagination, but current scholarship has not yet approached issues such as the origin of imagination or the prototypical text. In China, a national compilation of Daozhang was undertaken on a large scale, covering Taoist hermit tales embodying early Taoist thought to Taoist scriptures of the periods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Sui and Tang, as well as later offshoots. In Korea, efforts at publishing or translating were not undertaken autonomously, but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aoism and Daozhang were introduced and Taoist scriptures were enjoyed and passed down widely amongst literary people. Taoist thoughts have a longer history than Buddhism, and in case of China it was a state religion for a while. However, in its dissemination, i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folk religion in the basic culture. As the thoughts of the people, Taoism is associated with a fictitious outlook on the world. Novels are also linked with Taoism in terms of their closely private and non-mainstream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expressive techniques, such as allegories or comparisons. It is possible to look for Taoist imaginations in Korean or Chinese novels, and novelist such as Kim Siseup pored over the Taoist Scriptures, making use of them in his writings. Some views that suggest Daozhang as a prototypical text of classical novels demonstrate the huge potential for new possible explorations in the study of classical novels, which until now have been focused on Confucian discussion and vision. In addition, we can broaden the scope of East Asian comparative narratology and present a profound viewpoint for it.
ꠓ도장ꠗ1)은 다수의 도가서와 도교경전을 모아놓은 총서이다. 그러나 ꠓ도장ꠗ은 단순한 종교사상서로만 볼 수는 없다. ꠓ도장ꠗ은 그 자체로 방대한 사유와 이야기의 보고(寶庫)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속에는 다양한 이미지와 상상체계가 들어 있으며, 동양인들에게 유전되는 철학적 경험과 삶의 진실이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글에서 ꠓ도장ꠗ을 서
사적 상상력의 근원으로 주목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ꠓ도장ꠗ이 지닌 설화성과 그것의 자기구현방식은 특히 고소설의 소설적 환상성과 세계관 및 서사미학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그렇기에 서사적 상상력의 원형이자 풍부한 사례로 ꠓ도장ꠗ에 접근하는 것은 서양에서 문학의 원형을 고대신화에서 탐색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닐 것이다. 기실 김시습과 허균의 문학을 비롯하여 한국 서사문학과 도교사상과의 관계 및 도가적 상상력을 점검한 논의가 적지 않았다.2) 그러나 이상의 연구들은 대체로 단편적인 화소를 중심으로 도교사상을 추출하였고,
근원 탐색에 접근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는 도가의 역사적 위상과 관련이 있다. 소설이 부흥했던 조선시기, 도가는 관방에서 인정하는 종교로서의 지위를 부여받지 못했기에 정식 교단을 설립할 수 없었다. 또한 불경처럼 국가차원의 대대적인 경전언해 등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도가의 사회적 위상이 문학연구에도 일정 영향을 끼쳤을 것
이다. 필자는 궁극적으로 고소설의 서사적 상상력의 원형으로서 ꠓ도장ꠗ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그 전사로서 ꠓ도장ꠗ 자체에 주목할 것이다. 이는 앞서 보았듯 문학에 구현된 사상과 기법의 원형을 논하는 데 있어 ꠓ도장ꠗ이 지닌 의의가 적지 않음에도 그동안 ꠓ도장ꠗ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바 없기 때문이다.
ISSN
1598-302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38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