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교재 평가론의 통시적 고찰 : Diachronic review on KFL/KSL Material Evaluatioo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남욱-
dc.contributor.author김호정-
dc.date.accessioned2014-01-09T07:51:59Z-
dc.date.available2014-01-09T07:51:5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citation국어교육연구, Vol.29, pp. 1-33-
dc.identifier.issn1227-882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723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재 평가론의 위상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자 통시적인 연구사를 중심으로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전망과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어 교재 이론에서의 교재 평가론의 지위와 사적(史的) 전개 과정을 짚어보고, 이어 한국어 교재에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한국어 교재 평가론의 본격적인 논의가 형성되기 전의 교재 평가 관련 논의는 발간 및 개정 교재의 사례나 서문 등 정보 기록을 살펴보는 방법을 취하였고, 한국어 교재론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기 시작한 약 1990년대 후반부터는 연구 논물들을 중심으로 그 흐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초기의 한국어 교재 평가와 관련된 논의가 교재 유형론의 관점에서 교재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2005년을 넘어서면서 교재의 제작보다는 기존의 교재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으로서의 선정 기중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는 다른 외국어와는 달리 정책적 측면이 고려되어 있고 따라서 교재의 선정을 넘어 인증 또는 추천 등의 제도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더욱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으며 적용 가능성 높은 평가 기준 마련을 우해 앞으로도 깊이 있는 논의가 더욱 요구된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dc.subject외국어/제2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dc.subject한국어 교재론-
dc.subject한국어 교재 평가론-
dc.subjectKFL/KSL teaching materials-
dc.subjecttheory of KFL/KSL-
dc.subjectKFL/KSL materials-
dc.subjectmaterial evaluation of KFL/KSL materials-
dc.title한국어 교재 평가론의 통시적 고찰-
dc.title.alternativeDiachronic review on KFL/KSL Material Evaluatioo-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Nam-Wook-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o-Jung-
dc.citation.journaltitle국어교육연구-
dc.citation.endpage33-
dc.citation.pages1-33-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volume2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