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알타이 諸語와 韓國語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芳漢-
dc.date.accessioned2014-01-13T02:12:15Z-
dc.date.available2014-01-13T02:12:15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citation동아문화, Vol.15, pp. 3-52-
dc.identifier.issn1598-02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7566-
dc.description.abstract本稿는 音韻論,形態論,語彙比較 등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그렇다고 한국語와 알타이어 諸語의 全般分인 比較研究의 體系的 記述은 아니다. 筆者가 과거 發表한 論文 가운데서 部分的으로 修正을 要하는 것이나 見解가 多少 달라진 것들을 整理하고 여기 未發表의 몇 가지 問題를 提示하려는데 本稿의 目的이 있다. 그러므로 各 論題가 斷片的인 性格을 면할 수 없지만, 이것들을 세 分野로 區分한 것은 便宜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必要에 따라서 이미 發表한 論文 가운데서 그 要旨를 간단히 言及한 部分도 있다. 本稿에서 사용된 各 言語名의 略號는 (Poppe 1965: XIII)에 따르는 것을 原則으로 하나 各 文獻에서 直接 比較例를 引用할 경우에는 여기서 벗어나는 것도 있다. 그밖의 略號로는 PrK(=한국 祖語), AK(=古代 한국語), MK(=中世 한국語), PK(=現代 한국語), Ko(=한국語); PM(=몽고 祖語), PT(=토이기 祖語), PMT(=滿洲-퉁구스 祖語); PA(=알타이 祖語); J(=日本語). 本稿에서 一定한 槪念規定 없이 사용된 用語가 있다. 「한국 祖語」가 그러한 例인데 여기 관해서는 計劃중인 筆者의 다음 論文으로 미루기로 한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아문화연구소-
dc.title알타이 諸語와 韓國語-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동아문화-
dc.citation.endpage52-
dc.citation.pages3-52-
dc.citation.startpage3-
dc.citation.volume1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