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thnomusicology in Thailand The cultural politics of redefinition and reclamation : 태국 민족음악학의 새 자리매김 서구 민족음악학의 개정을 위한 문화정치학적 고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Wong, Deborah

Issue Date
1999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21, pp. 39-76
Abstract
Ethnomusicologists spend a lot of time thinking and talking about what ethnomusicology is, as a field and as a discipline. Our journal, Ethnomusicology, is marked over the years by a fairly constant stream of articles all asking, in one way or another, whither ethnomusicology. As a rather recent historical offshoot of musicology, it is probably not surprising that the nature and aims of ethnomusicology is still a subject for discussion even among those who claim it as their discipline. In the past ten years, the reflexive urge from anthropology has provided ethnomusicologists with a framework for talking about the shape, ethics, rationale, and mythology of our discipline.



민족음악학자들은 과연 민족음악학이란 무엇이며 그 범위와 학문분야는 또 무엇인지에 관해 많은 시간을 들여 생각하고 또 토론한다. 미국 민족음악학회(SEM)에서 나오는 학회지 『민족음악학(Ethnomusicology)』에는 앞으로 민족음악학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관해 쓴 논문들이 여러 해 동안 꾸준히 실려 왔다. 이와 같이 음악학으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지 오래되지 않은 민족음악학의 성격과 목적은 스스로 민족음악학을 공부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조차 여전한 토론의 주제가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지난 10년 동안 민족음악학자들은 인류학으로부터의 자극에 힘입어 민족음악학 분야의 형태와 윤리, 이론적 근거와 신화를 논하기 위한 얼개를 만들어 왔다.
ISSN
1975-021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