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ontemplating Alternative Musicology in Contemporary South Korea A call for "Integrative Musicology" : 우리 음악 연구의 대안 'Integrative 음악학'의 모색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Chae, Hyun-kyung-
dc.date.accessioned2014-01-14T04:45:43Z-
dc.date.available2014-01-14T04:45:43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citation동양음악, Vol.21, pp. 97-112-
dc.identifier.issn1975-02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7818-
dc.description.abstractScholarly discourse or the systematic study of music was first introduced to South Korea in the 1970s. It has been called by various terms, umakhak [musicology], minjok umakhak [Korean musicology], chongjok umakhak [ethnomusicology], or even umak illyuhak [anthropology of music]. However, while the West has undergone enormous changes in the field of musicology in the last two decades, its counterpart in South Korea has not made much progress since its inception. Several notable changes in the West are: (1) the integration of the two poles of musicology (historical and ethnomusicology) by studying both text and context in music research; (2) becoming inclusive, emcompassing all types of music and various approaches from diverse disciplines; (3) incorporating methodologies of the humanities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voices of cultural insiders; and most of all, (4) constant search for an improved guideline for world music research.



음악에 관한 학술적인 담화 또는 체계적인 연구는 1970년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그 동안 음악학, 민족음악학, 종족음악학 및 음악인류학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 왔다. 그러나 서구의 음악학이 지난 20년간 많은 변화를 거친 반면, 한국 음악학에는 이렇다 할 발전이 없었다. 서구의 음악학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두 갈래로 나누어져 있던 음악학, 즉 historical musicology와 ethnomusicology가 음악과 context를 같이 연구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통합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둘째, 음악학이 그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에서 점점 더 포괄적으로 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제껏 음악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대중음악도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부각되었고 다른 학문 및 방법론 등이 수용되어 음악학을 더욱 더 통합적인 학문으로 만들고 있다. 셋째, 그 동안 사회과학적인 영향으로 객관적인 관찰 및 분석이 부각되어 문화외부자의 목소리만이 중시되어 왔던 음악학 학계가 인문학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문화내부자의 주관적인 의견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즉 세계 음악계가 우리 음악 연구에 우리를 권위자로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계 음악 연구에 더 나은 가이드라인을 찾기 위하여 음악학계가 음악학을 discipline으로 또는 field로서 지속적인 재평가와 재정의를 내리고 있다.
-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dc.titleContemplating Alternative Musicology in Contemporary South Korea A call for "Integrative Musicology"-
dc.title.alternative우리 음악 연구의 대안 'Integrative 음악학'의 모색-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채현경-
dc.citation.journaltitle동양음악(Journal of the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dc.citation.endpage112-
dc.citation.pages97-112-
dc.citation.startpage97-
dc.citation.volume2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