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Nationalism, Regionalism, Modernization, and Cross-Cultural Paradigms in Chinese and Indonesian Performing Arts Some preliminary thoughts : 중국과 인도네시아 연행예술에 나타난 국가주의, 지역주의, 근대화 및 교차문화적 패러다임 예비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Witzleben, J. Lawrence-
dc.date.accessioned2014-01-14T04:45:44Z-
dc.date.available2014-01-14T04:45:4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citation동양음악, Vol.21, pp. 127-143-
dc.identifier.issn1975-02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7820-
dc.description.abstractIn the 1950s, "comparative musicology" gave way to "ethnomusicology" as the favored term for the scholarly study of music which includes all of the world's cultures. At least two reasons for this widely accepted change can be observed: firstly, "comparison" as a mode of inquiry may suggest qualitative judgments of the relative value or sophistication of musical cultures; most noticeably, though by no means exclusively, comparison of Euro-American art music with other traditions. To ethnomusicologists and anthropologists schooled in cultural relativism, this type of comparison is, at best, misguided. Secondly, as many ethnomusicologists have noted, comparison is only one of many directions of inquiry available in the study

of music, and should not be singled out as the defining element in our work. In fact, the vast majority of ethnomusicological studies, even during the era of so-called "comparative musicology," have been culture-specific, with the case study of a particular community or musical genre occupying a central place in the ethnomusicological canon.





세계 모든 문화권의 음악을 포괄하는 학문적 연구의 명칭으로서 비교음악학(comparative musicology)은 1950년대에 민족음악학(ethnomusicology)에 자리를 내주었다. 널리 받아들여진 이 변화의 원인으로 적어도 두 가지를 살필 수 있다. 첫째, 탐구방법으로서 비교는 음악문화 간의 상대적 가치나 수준에 대한 질적 판단을 시사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십중팔구 구미의 예술음악을 다른 전통과 비교하는 인상을 준다는 것이다. 문화적 상대주의 안에서 훈련받은 민족 음악학자와 인류학자들에게 이런 식의 비교는 오도하는 것이 되기 십상이다. 둘째, 여러 민족음악학자들이 지적해 왔듯 비교는 음악 연구에 활용되는 여러 탐구방향 중 하나일 뿐이어서, 우리의 작업을 정의하는 요소로 특정될 수 없다. 실제로 이른바 비교음악학의 시기에조차 대다수의 민족음악학 연구들은 특정 문화에 관한 것이어서, 특정 사회나 음악 장르의 사례연구가 민족음악학 전범(典範)의 중심 위치를 점해 왔다.
-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dc.titleNationalism, Regionalism, Modernization, and Cross-Cultural Paradigms in Chinese and Indonesian Performing Arts Some preliminary thoughts-
dc.title.alternative중국과 인도네시아 연행예술에 나타난 국가주의, 지역주의, 근대화 및 교차문화적 패러다임 예비적 고찰-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로렌스 위츨레븐-
dc.citation.journaltitle동양음악(Journal of the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dc.citation.endpage143-
dc.citation.pages127-143-
dc.citation.startpage127-
dc.citation.volume2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