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Western Staff Notation and Its Impact on Korean Musical Practice : 서구의 오선보와, 한국의 음악관행에 끼친 그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Lee, Byongwon

Issue Date
2000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22, pp. 89-102
Abstract
Notation, according to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is A visual analogue of musical sound, either as a record of sound heard or imagined, or as a set of visual instructions for performers (Bent 1980:333). Thus, the likely motivation behind the use of notation is either the need for a memory aid or as a means of communication. Since the 15th century, Korea has accumulated more than six different notational systems to serve different purposes. Despite the existence of a well-developed native mensural notation, the introduction of the five-lined Western staff notation to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us, an examination of the usage of Western staff notation by musicia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impact on Korean musical practice.



『새 그로브 음악사전』에 따르면 악보는 들리거나 상상한 소리의 기록, 또는 연주자를 위한 시각적 지시로서의 음악적 소리의 시각적 상사물(Bent 1980:333)"이다. 그러므로, 악보 사용의 숨은 동기는 아마도 기억을 돕기 위한 것이거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일 것이다. 15세기 이래 한국은 서로 다른 목적을 위해 적어도 여섯 가지 다른 기보체계를 축적해 왔다. 고도로 발달한 고유의 유량악보가 있음에도, 20세기 초 서구 오선보의 한국 도입은 한국 전통음악의 연주와 전승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래서 이 글의 초점은 한국의 전통음악인들이 서구 오선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것이 한국의 음악관행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지 살피려는 것이다.
ISSN
1975-021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