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inging in the Life of Grandmother Choe, a Survivor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 일본군 성노예 피해 생존자 최할머니의 삶과 음악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Pilzer, Joshua D

Issue Date
2003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25, pp. 167-188
Abstract
My dissertation is a study of the musical life of Korean survivors of the Japanese "comfort women" system, by which tens or perhaps hundreds of thousands of girls and young women were forced into sexual slavery to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Pacific War. Approximately two hundred fifty South Korean women have come forward and given testimony as former sex slaves. There are many reasons why I chose this subject: the fact that these women were compelled to learn and perform Japanese and Korean songs in the "comfort station" (see Hanguk jeongsindae 1993, 1995); the fact that they traveled all over the Pacific, East and Southeast Asia and collected together songs of many countries, which, taken together, are a kind of map of the consequence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fact that many of them were sold or pressured into the South Korean domestic entertainment industry after the war, singing, pouring drinks, and in some cases selling their bodies to American and Korean soldiers and civilians. Much like outsiders such as Jews and Gypsies in Eastern Europe, the former sexual slaves, marginalized in Korean postcolonial society, often took up musical professions. In general, colonial and postcolonial East Asia demonstrate a close relation of entertainment labor to sexual exploitation and violence.



내 학위논문은 한국인 일본군 성노예(종군위안부) 생존자들의 음악과 삶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주제로 일본군 성노예를 택한 배경은 여러 가지이다. 이 여성들은 위안소에서 일본과 한국의 노래를 억지로 불러야 했다. 이들은 태평양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를 돌아다니면서 여러 나라의 노래를 듣고 불렀다. 이들 다수는 종전 후 남한 내 향락산업에 팔리거나 끌려들어가 노래하고 접대하고 심지어 미국인과 한국인, 군인과 민간인을 대상으로 성매매에 나서기도 했다. 동유럽의 유대인이나 집시같은 주변인과 흡사하게 일본군 성노예 생존자 여성들은 한국의 탈식민 사회에서 주변인화되면서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의 가장 큰 목표는 이 여성들의 음악을 체험의 기록으로서, 그리고 수난과 생존의 과정으로서 탐구하려는 것이다. 일본군 성노예 여성들의 경우는 인간의 영혼이란 무엇인가, 영혼은 어떻게 수난을 당하고 음악을 통해 견뎌내는가, 살아남고 자기를 규정하고 자기를 타인과 관련지우고, 기억하고 잊고, … 등등의 과정에서 음악의 역할이란 무엇인가를 어렴풋이나마 알 수 있게 해 준다. 유대인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의 노래에 관한 여러 음악학자의 선행연구가 자극제가 되어 주었다.
ISSN
1975-021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