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과 북의 가교: 재외동포의 남북한 음악 전승 : Link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Music Transmitted by Overseas Korea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영민

Issue Date
2008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30, pp. 181-198
Abstract
한국 문화를 접하기 위해 반드시 한국을 찾아야 하는 시대는 지났다. 세계의 웬만한 대도시에 가면 한국 음식점에서 한국 음식을 먹고 영어 자막과 함께 한국 영화를 보는 일이 낯설지 않은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한국 문화뿐 아니라 다른 민족의 다양한 문화 또한 그 민족 구성원이 살고 있는 공간을 넘어 세계 각 곳에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화의 세계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문화를 어느 특정 지역이나 국가를 특정 짓는 불변의 요소로 보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문화의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람도, 문화도 본래 속해 있던 지리적 영토의 경계를 끊임없이 넘나드는 현대 사회에서는 멀리 있는 사람도, 멀리 있는 문화도 가깝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탈영토화 현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사람들이 본국을 떠나 새로운 환경에서 삶을 개척해 나가는 재외동포, 즉 디아스포라(Diaspora) 사람들이다. 재외동포는 자신이 속해 있던 지리적 영토의 경계를 넘어선 채 살아가는 탈영토화된 사람들이며, 이들이 가꾸어가는 문화는 탈영토화된 본국의 문화이자 거주국 안에서 재영토화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of Korean diasporic communitie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specifically, North Koreans in Japan and South Koreans in Los Angeles) in the light of de/reterritorialization of culture and long-distance nationalism of diasporas. Most first-generation North Koreans in Japan origin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however, when Korea was divided in 1945, they chose North Korean nationality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affiliation. Since then, they have maintained strong ties with North Korea, while showcasing North Korean "national" music within Japan. Unlike North Korean communities in Japan, which emerged as a result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substantial South Korean diasporic communities in the US formed after the colonial period. The prospect of a higher standard of living and a better opportunity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motivated many South Koreans to move to the US. In this process, South Korean music was also eterritorialized; first generation South Korean musicians who entered the US in the 1960s and 1970s have maintained their musical heritage in their new home, while p'ungmul became extremely popular in the 1980s and 1990s. These "deterritorialized." Korean musics (North Korean "national" music and South Korean p'ungmul)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erforming "long-distance nationalism." Now, younger generations do not have a strong sense of "long-distance nationalism." Instead, they use the music of their hom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ir unique diasporic identities, where "reterritorialization" of Korean music begins.
ISSN
1975-021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