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악 채보의 제 문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헌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32, pp. 97-132
Abstract
본 논문은 국악 채보에 제기되는 여러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서 국악의 음고요소인 기본음-음렬-음계-선법-토리로, 음장요소인 박-박자-박자주기 장단-리듬주기의 장단-리듬토리의 층위로 구분해서 각 요소의 층위별 음악 해석의 문제와 함께 악보 기보법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음고요소의 각 층위에서는 기본음에서의 음고와 음역, 음렬에서의 음정, 음계에서의 중심음과 각 구성음의 음정관계, 선법에서의 시김새의 해석과 기보방식, 토리의 선율진행방식 해석 등의 내용을 제기하였다. 음장요소의 각 층위에서는 고동박 단위 설정, 오선보에서의 3소박 단위 고동박의 표기문제, 박자의 해석과 아디의 음악적 개념, 장단의 해석과 오선보상 표기문제, 장단 리듬들의 종류 구분문제를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problems in scor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classified into pitch and length of tone. Division include that of tonality such as the tuning tone, the tone system, the scale, the mode, the melodic tori (선율토리), melodic contour, and elements of the tone, and that of rhythm such as the meter, the Jangdan (장단) (rhythmic pattern), the rhythmic tori (리듬토리), and duration. In this paper, I examined methods of notation in connection with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itch including range and the intervals within the tuning system, the tonic, and interpretation of sigimsae (시김새). I examined, as well, interpretations of the melodic tori (토리). Rhythmic interpretations represented in notation were also considered. I examined the standard unit of the beat, the music notation of the triple beat on five lines, the interpretation and the conception of the measure, the interpretation of iangdan (장단) and the writing methods for iangdan (장단) on five-line notation.
ISSN
1975-021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9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