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iscourse Functions of Coordination in Old Russian : 고대 러시아어에서의 등위접속사의 담화기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Song, Eun-Ji-
dc.date.accessioned2014-01-14T07:25:16Z-
dc.date.available2014-01-14T07:25:1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citation러시아연구, Vol.7, pp. 163-178-
dc.identifier.issn1229-10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799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고대 러시아어의 이야기체 담화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등위접속사 가운데 접속사 a와 i의 담화기능을 살펴본 것으로 표면적으로 잉여적이라 여겨지는 등위접속사가 사실상 이야기체 담화의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보임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통사적 측면에서 이들 접속사를 단지 주변적으로 다루는 것에 대해 반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구두점이 체계적이지 않은 고대 러시아어에서 문장단위를 파악하기 불가능하고 접속사가 연결하는 통사단위를 밝히기 쉽지 않음을 보인 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한다고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등위접속사 i와 a를 주된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정보구조 측면에서 접속사 i는 사건구조, 즉 시간적 순서에 따른 이야기의 전개 혹은 주된 플롯을 형성하는 반면, 접속사 a는 배경이나 상황 묘사적 정보나 서술자의 평가적인 태도나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접속사 I가 주어 혹은 화제의 생략이나 도치로써 사건을 중립적이고 총체적인 시각에서 전달하고 서술에 속도감을 부여하여 중추적인 일련의 사건들을 전경화 시키는 반면, 접속사 a는 보다 내적이고 주관적인 관점에서 서술속도를 지연시키고 담화를 배경화 시킨다.-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dc.titleDiscourse Functions of Coordination in Old Russian-
dc.title.alternative고대 러시아어에서의 등위접속사의 담화기능-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송은지-
dc.citation.journaltitle러시아연구(Russian Studies)-
dc.citation.endpage178-
dc.citation.pages163-178-
dc.citation.startpage163-
dc.citation.volume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