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죽음 교육 모형 탐색 : An Exploration of death education model for high-touch major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윤주; 조계화; 이현지

Issue Date
2006-09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7 No.3, pp. 121-140
Keywords
죽음교육과정죽음교육모형대인조력death educationdeath education modelhigh-touch major
Abstract
논문 요약본 연구는 대인조력 전공자들을 위한 죽음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먼저 죽음 교육의 현황, 죽음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죽음교육의 내용들을 추출하여 둘째, 교육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전공 교수 3인의 논의와 합의를 통해 유사한 것들끼리 정리하고 분류하였다. 셋째, 교육학, 간호학, 사회복지학의 3개 대인조력 전공분야 대학생들 128명이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한 '죽음 교육 내용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하는 내용'을 근거이론적 접근의 개방 코딩 절차에 의해 정리하였다. 넷째, 이렇게 정리된 내용과 두 번째 과정에서 정리된 교육과정 영역들과 합하여 통합․정리하였다. 다섯째, 정리된 교육 내용을 토대로 하여 대인조력 전공 학생들을 위한 죽음교육모형을 정립하였다. 모형에 의하면 죽음 교육은 '인지', '정서', '실천 및 행동'을 주요소로 하며 교육의 각 측면은 전문적 실천으로 귀결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와 함께 죽음교육 및 죽음교육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ation and identification of elements for death education. For this goal,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s of death education were reviewed, and contents of death education from previous studies and 128 high touch major student's reports were coded. Axes found out of previous studies and students' reports were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practice', each axis was consist of 2 to 3 categories, 4 to 8 contents. death education model for high-touch major students was these established on comprehensive education contents, the core of model was 'behavior/practi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and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agraphs.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0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