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도덕과 교과서의 내용 이동성 분석 : An Analysis on Interchanging Types among Moral Textbooks: Focused on the 4th~the 7th Curriculum Period of Elementary Schoo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준

Issue Date
2006-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7 No.4, pp. 217-234
Keywords
교육과정 개정도덕과 교과서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간극
Abstract
요약새로운 교육과정은 일정 부분 기존의 교육과정을 넘어서려는 이상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교과서들 역시 그 연장선 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관한 가장 강력한 해석의 하나로 간주된다는 점에서, 그 변화 폭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이상이 단위 학교, 특히 교실 수업에 실지로 얼마나 투영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초등학교 제4차~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및 각 시기에 집필된 도덕과 교과서 상호 간에 이루어진 내용의 이동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각 교육과정 시기별로 집필된 도덕과 교과서가 가지는 변화의 폭 및 상호 이동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록 단편이기는 하였지만 교육과정의 이상과 교과서 상호 간에 존재하는 간극의 일면을 관찰할 수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덕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실제적인 지침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것, 교사들이 교육과정상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참신한 제재를 발굴하고, 이를 위해 집필 체제를 좀 더 다양화함으로써 교과서의 변화 폭을 넓힐 필요가 있음 등을 제안하였다.



There is a certain desire in revised curriculum to go beyond the idea expressed in previous curriculum. Textbooks, as one of the most powerful interpretations of curriculum, also contain the same desire to actualize this goal. But it is not easy to reduce the conflicts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s in practic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in comparing current textbooks with previous textbooks in moral education to identify the mode of alienation from the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we tried to find the same contents(or topics) in the textbooks which were written under the doctrines of each national curriculum period. Through our analyzing, we found that 20% of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the 4th and the 5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wholly loaded in the textbooks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nd tha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27%. In the conclusion of our study, we suggest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in moral education. Firstly, there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curriculum which works as a criteria of developing desirable textbooks for practical moral education. Secondly, It needs to evaluate and reform the editorial systems which produce textbooks for getting more ideal textbooks. Finall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system from the standpoint of providing diverse interpretation of national curriculum.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0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