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초학력부진 아동 지원의 장애요인 선별척도 타당화 : A Validation Study on Factors Adversely Affecting Successful Support for Children with Low Achievement in Basic Academic Skil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현숙

Issue Date
2006-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7 No.4, pp. 235-254
Keywords
기초학력부진 아동지원 장애요인타당화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요인분석
Abstract
요약본 연구는 기초학력부진 아동들을 위해 학교에서 제공하는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교육적 지원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이를 근거로 「기초학력부진 아동 지원의 장애요인」선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1차년도 사전 질적 연구에서 심층 면담을 통해 드러난 요인들을 기초로 총 88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한 후, 기초학력책임제의 일환으로 보충지도반을 운영하는 서울시 공립 초등 129개교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 특수교사, 보충지도반 강사 등 총 440명을 대상으로 현장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해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6개 문항이 제거되어 최종 72개 문항이 선별되었고, 각 요인에 대해 1~3개씩 총 16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문항 제거 후, 본 척도의 문항 전체, 요인별,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가설 모형은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기초학력부진 아동 지원의 장애요인」선별 척도는 기초학력이 부진한 초등학생들에게 보충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어 어려움은 무엇이고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적절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본 연구가 갖는 의의,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factors adversely affecting successful support for children with low achievement in basic academic skills, which can be used at schools running the program for supplementary lessons. For this purpose, the scale was developed with items from the results of a previously conducted qualitative study. The complete form of the scale was given to a total of 44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useful measurement tool. Through the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6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scale and the final scale ended up with 8 factors, 16 sub-factors, and 72 items with high reliability.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cale appeared to have appropriate construct validit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newly developed scale in the present study ensured acceptable psychometric properties.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0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