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의 자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념도 접근 : Using a Concept-mapping Approach to Explore the Desirable Qualities of Elementary Gifted Teach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기순; 이현주

Issue Date
2011-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pp. 171-191
Keywords
개념도 연구법교사 자질초등학교 영재교사영재교육concept-mappingdesirable qualitiesgif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gifted educa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의 자질이 무엇인지 를 탐색적으로 밝히고, 이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영재교사가 각각의 자질을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현장에서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되었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는 11명의 초등영재교사가 개념도 도출을 위한 초점집단으로 참여하여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의 자질에 대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단계 는 진술문을 기초로 작성된 설문 조사 단계로 초등학교 영재교사 19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에 대한 총 40개의 구체적인 진술문이 산출되었으며 이들 진술문 에 대하여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stress 값 .291이 도출되었다. 이를 개념도 분석을 한 결과 초등학교 영재교사들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영재교사의 자질 은 9개의 범주로서 각 범주명은 학문적 전문성 수업에서의 개방성․융통성 유능한 교수․학습능력 자료활용 및 개발 능력 이해와 관용의 자세 인내심․성실성 지원적․수용적 자세 의사소통기술 및 영재판별능력 상황기반 전문성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영재교사들은 바람직한 영재교사의 자질에서 이해와 관용의 자세, 인내심․성실성, 지원적․수용적 자세, 유능한 교수․학습능력, 상황기반 전문성, 의사소통기술 및 영재판별능력, 학문적 전문성, 수업에서의 개방성․융통성, 자료활용 및 개발 능력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였으며, 중요도와 실행수준 간에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elementary gifted teachers' perception of the desirable qualities by concept-mapping and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the desirable qualities and their own level of practice. For this, 11 teachers solicted, gathered and analyzed statements, and then di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193 elementary gifted teacher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describing qualities of gif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own level of practi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0 statements were solic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the desirable qualities of gif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ategorized as 'academic professionalism', ''openness․flexible in teaching', 'competent teaching․learning ability', 'capacity of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tolerance', 'patienc e․sincerity', 'supportive and accommodative attitude', 'communication skills and ability to identify the gifted', 'context-based professionalism' by 9 categor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s across all 9 categories.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gifted education practices were discussed.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3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