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별에 따른 부모진로지지와 진로포부와의 관계_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Gender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수미

Issue Date
2013-06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2, pp. 213-234
Keywords
사회인지진로이론부모진로지지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포부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parental career supportcareer decision self-efficacycareer aspir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 환경적 변인으로서 부모진로지지가 청소년들의 진로포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 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후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로포부 형성 및 발달과정에서 남 성과 여성의 차이가 있음을 가정하여 이들 세변인들간 관계의 성차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대상으로는 부산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536명(남 248명, 여 288명)을 대 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진로지지와 청소년 진로포부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 진로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 진로포부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부모진로지지와 진로포부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세 변인간의 구조적 경로모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은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진로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 로 한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고, 부모진로지지의 진로포부에 대한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여학생 은 세변인간의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고,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진로지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보다 직접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청소년 진로발달에 대한 중재적 노력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몇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ypothesized and investigate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s a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 and career aspiration of adolescents. Furthermor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the gender difference in of the structural model explaining these three variables, parental career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The total of 386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as includ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composed of 248 of male and 288 of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parental career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aspiration of adolescents, and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arental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Third, it showed that there was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In other words, where as perfect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r male students indicated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r female students display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future implications for interventive efforts of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s were suggested at the end of the paper.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3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