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판적 공간문화연구의 동향과 과제 : The Trends and Issuεs of Critical Space and Culture Studi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무용-
dc.date.accessioned2014-01-21T06:10:17Z-
dc.date.available2014-01-21T06:10:1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citation지리학논총, Vol.45, pp. 433-470-
dc.identifier.issn1226-588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97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공간문화 연구의 동향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비판적 관점에서 공간을 사회문화적으로 이해하는 인식론적 논의들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1970년대 이후 공간담론의 부각 속에서 공간문화연구는 인간주의지리학, 사회공간론, 공간정치경제학, 일상생활공간론, 포스트모던공간론, 가상공간론, 공간의 문화정치론 등의 영향을 받아 그 인식적 지평을 확대해왔다. 다음으로 공간문화연구와 관련된 주요 이론들을 문화론과 도시문화론, 신문화지리학과 문화정치론, 포스트모던공간론, 공간육체론 등 다섯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세 번째로 공간문화연구의 주요 주제를 일상생활 공간, 문화와 경제, 도시공간의 상품화와 스펙터클의 정치, 공공 공간 담론, 소비의 문화정치, 도시개발의 문화전략과 장소마케팅, 경관텍스트 분석, 차이와 정체성의 정치 등 여덟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네 번째로, 한국의 비판적 공간문화연구 흐름과 쟁점을 크게 네 시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즉 제1기(1991-93)는 포스트모던 공간문화연구, 제2기(1994-96)는 신문화 지리학과 도시경관연구, 제3기(1997-99)는 공간문화정치론과 현실공간문화연구, 제4기(2000년 이후)는 장소마케팅과 장소성의 정치 등이 각각 핵심주제로 부각되어왔다. 마지막으로 향후 비판적 공간문화연구의 과제로서 도시문화지리, 미디어지리, 관광지리, 감성의 지리 등 연구 분야의 확대 및 심화와 학제 간 공동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trends and issues of critical space and culture studies. At first, this study review critical space discourses related to understanding space from the view of socio-cultural dimension such as humanistic geography, social space, political economy of space, everyday life space, postmodern space, cyberspace. And then, major five theories of space and culture studies such as theory of culture and urban culture, new cultural geography and cultural politics of space, postmodern space, and spatial bodies are reviewed. Thirdly, eight themes of space and culture studies such as life space, cultural economy, cultural politics of consumption of urban space and politics of urban spectacles,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cultural politics of consumption, cultural strategy of urban development and place marketing, landscape text analysis, and politics of difference and identity politics are analyzed. Fourthly, the trends and issues of critical and culture studies in Korea since 1990s are reviewed. It is divided into four period, the first period(1991~93) focusing postmodern space and culture, the second period(1994~96) focusing on new cultural geography and urban landscape, the third period(1997~99) focusing on cultural politics of space, and the fourth period(after 2000) focusing on place marketing and politics of place identity. lastly, it is emphasized to widen and deepen critical space and culture studies, especially new fields and themes such as urban cultural geography, media geography, urban tourism geography of feeling. Interdisciplinary study is also very important and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space and culture studies.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dc.subject비판적 공간문화론-
dc.subject공간문화-
dc.subject신문화지리-
dc.subject문화정치-
dc.subject장소마케팅-
dc.subject장소성-
dc.subject도시문화지리-
dc.subjectcritical space and culture studies-
dc.subjectspace and culture-
dc.subjectnew cultural geography-
dc.subjectcultural politics of space-
dc.subjectplace marketing-
dc.subjectplace identity-
dc.subjecturban cultural geography-
dc.title비판적 공간문화연구의 동향과 과제-
dc.title.alternativeThe Trends and Issuεs of Critical Space and Culture Studie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Mu-Yong-
dc.citation.journaltitle지리학논총(Journal of Geography)-
dc.citation.endpage470-
dc.citation.pages433-470-
dc.citation.startpage433-
dc.citation.volume4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