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首都圈 施設農業의 生産構造 變化와 空間分化 : Changing agricultural production structure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the case of plastic greenhouse horticulture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曺永國-
dc.date.accessioned2014-01-21T06:41:47Z-
dc.date.available2014-01-21T06:41:47Z-
dc.date.issued1999-08-
dc.identifier.citation지리학논총 별호, Vol.31, pp. 1-17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98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수도권 시설농업을 대상으로 농업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농업공간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시설농업은 총량적인 성장과 함께 자본집약화, 경영규모의 확대, 농업생산의 전문화 등의 구조적 변화를 거쳐왔다. 이와 같은 생산구조의 거시적 변화가 전개되는 가운데 개별농가의 경영형태는 어떠한 성격을 가지며 그리고 농가의 생성과 분화는 어떤 과정을 거쳐 전개되는지를 분석하고 그 공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업공간의 분화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권 시설농업은 그 동안 양적인 팽창과 함께 시설농업구조도 과거 소규모 복합농가 위주의 구조에서 대규모 전문경영을 추구하는 농가 중심의 구조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는 두 가지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첫째 서울에 인접한 지역에 시설재배로 충진된 절대적 시설농업지역이 형성되는 한편,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시설농업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서울로부터 대략 3-40km 반경을 기준으로 내측(內測)에 엽채와 화훼 산지, 외측에 과채산지가 발달하는 이분적 지역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2. 사례지역 연구를 통해 시설농가들은 엽채전문농가, 화훼전문농가 그리고 과채 전문농가으로 분화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각 농가유형들은 다음과 같은 질적 특성을 각각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엽채농가는 다품종 소량생산, 고용노동에 활용한 분업화 및 개별출하의 경영형태 특성을 과채농가는 자본집약화를 통한 복수 작형의 재배, 가족노작적 생산, 공동출하의 경영형태 특성을, 화훼농가의 경영형태는 자본집약화, 다품종 소량생산, 가족노작적 생산, 개별출하의 경영형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각 농가유형의 경영형태 특성과 지역속성이 상호 결합되어 지역분화가 야기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3. 농가의 시설농업 진입경로와 진입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시에서 비농업부문에 종사하다가 전직과 함께 시설농업에 진입한 , 현 영농장소로 전입해오기 전에 다른 지역에서 시설농업을 경영하였던 가 지배적인 농가유형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현 단계 수도권 시설농업은 외지출신농가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spatial restructuring process according to changes of horticulture production structure i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is aim, macro analysis using census data and case study in six plastic greenhouse horticulture districts are conducted.

Plastic greenhouse horticulture grows fast and recent1y occupies the majority of horticulture produc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Structural transforming such as capital intensification, farm specialization and farm enlargement is underway and reshape the regional structure of greenhouse horticulture. First1y greenhouse production extends to the periphery reg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and many agricultural regions have changed into horticulture producing districts. Secondly while regional specialization is deepening, bi-modal regional structure of horticulture production is shaping; Inner regions of Seoul metropolitan area are specializing flower cultivation or light-weight vegetable such as lettuce, spinach cultivation -these vegetables are classified into Yeopchae(葉菜) in Korean, outer regions are specializing heavy-weight vegetables such as cucumber, pumpkin -these vegetables are classified into Gwacha in korean.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dc.subjecthorticulture production structure-
dc.subjectregional differentiation farming system-
dc.subjectfamily farm' s social trajectory-
dc.subjectsocial reproduction of family farm plastic greenhouse horticulture-
dc.subject생산구조-
dc.subject농업공간분화-
dc.subject경영형태-
dc.subject진입경로-
dc.subject시설농업-
dc.title首都圈 施設農業의 生産構造 變化와 空間分化-
dc.title.alternativeChanging agricultural production structure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the case of plastic greenhouse horticulture --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ohh, Young Kug-
dc.citation.journaltitle지리학논총 별호-
dc.citation.endpage170-
dc.citation.pages1-170-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volume3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