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투표율과 사회경제적 지위모델: 제4회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율 분석 : The Socioeconomic Status Model and Voter Turnout in Korean Local Elec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수현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Citation
한국정치연구, Vol.21 No.1, pp. 27-54
Keywords
투표율사회경제적 지위합리적 선택이론지방선거voter turnoutSES modelrational choicelocal election
Abstract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사회경제적 지위모델이 한국 선거의 투표율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사회경제적 지위모델의 기본 가정과는 달리 높은 소득수준이나 교육수준이 유권자의 투표가능성을 높여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주장이 1990년대 이후 많은 정치적 경제적 변화를 겪은 2000년대의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유효한지 알기 위해서 2006년도와 2010년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의 투표율의 결정요인들을 시도군 집합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분적으로나마 선거구민의 투표여부를 사회경제적 지위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이 통제되었을 때, 선거구민의 대졸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선거구의 투표율이 증가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투표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선거구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투표율이 상승한다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 Since the 1990s, many political scientists have argu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SES) Model cannot explain voter turnout in Korea. According to their studies, there is no evidence supporting that more educated and/or wealthier people are more likely to go to the polls than less educated and/or poorer ones. This paper attempts to reexamine the impact of the socioeconomic status on voter turnout by analyzing the aggregated data for the 4th and 5th Local Elections. Unlike previous studies, my findings provide partial evidence for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voter turnout. Holding other variables constant, as the proportion of college graduates in the electoral district increases, voter turnout grows. It indicates that higher education leads to higher voter turnout. However, any positive evidence for the impact of income on voter turnout is not found.
ISSN
1738-747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2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