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環境設計敎育을 위한 電算設計技法 標準講義要目에 關한 硏究 Ⅱ : 컴퓨터 그래픽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兪炳林; 朴鍾和

Issue Date
1988
Publisher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Citation
환경논총, Vol.23, pp. 65-95
Abstract
퍼스날컴퓨터는 시스템 유니트, 키보드 및 비데오 디스플레이의 3 필수부품으로 구성되며, 컴퓨터 그래픽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마우스, 디지타이저, 프린터, 플롯터 등의 周邊器機를 시스템 유니트에 있는 擴張器機接續裝置에 연결된 接續포트(port)에 연결시켜서 이용하게 된다. 또한 퍼스날컴퓨터는 모뎀(modem)을 이용하여 대형컴퓨터와 연결시켜 端末機로 사용하거나 다른 퍼스날컴퓨터와 연결시켜 데이터베이스 혹은 周邊器機를 공유할 수 있는 근거리 네트웍(Local Area Network)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회사 및 기능이 상이한 情報機器의 接續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문자의 記號化 방식, 데이터 傳送方式 및 접속장치의 표준이 설정되어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의 기록방식 중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것은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이 방식은 128개의 문자, 숫자, 부호 및 특수조절부호(special control code)를 A는65, B는66과 같이 숫자로 표시한다. 1바이트는 8비트로 구성되어 256개의 부호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회사에서는 128개의 추가 기호를 표현할 수 있는 확장 ASCII를 이용하는 수가 많다. 예를 들면 IBM PC기종은文字모드에서 간단한 그래픽을 할 수 있는 부호들을 다수 포함시키고 있다(Goldstein 1984). 세계 최대의 컴퓨터 회사인 IBM사는 ASCII와 별도로 EBCDIC(the Extened Binary Co ed Decimal Interchange Code)을 이용하기 때문에 IBM 대형 컴퓨터의 자료를 PC로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코드변환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의 각 컴퓨터 회사는 한글과 한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2바이트를 l워드(word)로 하여 完成型과 組合型방식을 混用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교환이 곤란하여 行政電算網구축작업의 일환으로 KS基準이 설정된 바 있다. 컴퓨터와 주변기기간의 데이터 전송방식은 直列接續(serial interface)과 並列接續(parallel interface)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접속포트는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LPT 1:" 혹은LPT2:" 로 표시하며, 직렬접속포트는COM 1:" 혹은COM 2:" 등으로 표시한다. 가장 흔히
이용되는 방식은 RS-232 직렬접속방식이며, 양단의 핸드셰이킹(hand shaking)에 따라서 하나의 線路에 1 비트씩 연속적으로 보낸다. 이 접속방식은 接續裝置도 암수의 9핀 혹은 25
핀으로 규격화되어 쉽게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 發信 및 受信핀을 접속시켜준다. 데이타 傳送速度의 단위는 매초당 전송비트량을 의미하는 baud이며, 300, 1200, 2400, 4800, 9600 baud 등의 속도가 이용되고 있다. 각 문자는 통상적으로 10비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300 baud는 매초당 30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Cluley 1982). 並列接續은 l바이트를 구성하는 각 비트를 별도의 線路에 의해서 동시에 전송시키는 방식으로서 이용된다. IBM PC기종과 프린트의 연결은 센트로닉스(centronix) 접속장치를 이용하고 있다.(Lien 1982; 삼보컴퓨터n. d.).
ISSN
2288-445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4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