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ome Koreanized Aspects of Chinese Music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Sheen, Dae-Cheol

Issue Date
1997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민족음악학, Vol.19, pp. 97-121
Abstract
역사적으로 한국음악은 중국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이 영향은 궁중음악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나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여러 악기와 음악은 오랜 세월을 흐르면서 한국화가 되었다. 즉 한국음악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식으로의 음악적 문화변용을 하였다. 중국에서 수입된 악기 중 향악기화된 악기에는 당비파·월금·아쟁·해금·당적·당피리·퉁소·태평소 등이 있다. 이들은 주로 당악기로 분류되는 악기이다. 이중 당비파·당피리·해금과 같은 악기는 세종대(1418~1449) 이전, 혹은 세종대에 이미 향악기로 취급되었다. 이 셋과 나머지 악기의 향악기화된 사실은 악학궤범(1493)에 의해서 확인된다. 그리고 이 말은 악학궤범 이전에 이들 악기가 향악기화 되었음을 의미하고, 달리는 이 시기에 한국적으로 문화변용되었음을 의미한다. 당악 보허자가 향악화되면서 보허사·밑도드리·잔도드리·우조가락도도리·양천도드리의 파생곡이 탄생된 사실과 낙양춘의 향악화 과정은 이미 기존 연구에 의해서 밝혀진 바이다. 물론 이 두 곡이 향악화된 사실에서도 중국음악이 한국적으로 문화변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보허자의 향악화 현상은 세조대(1455-1468)의 음악을 담은 대악후보로부터 출발한다. 그런데 대악후보는 보허자를 향악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 말은 세조 이전에 보허자의 향악화가 진행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악은 고려대에 송나라에서 수입한 이래 중국식에서 일탈된 모습으로 연주되어 한동안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 일탈된 아악을 한국적인 아악으로 파악할 수동 있을 것이다. 이후 조선조 세종대에 이르러 박연 등에 의해 재정비된 아악은 비록 중국 주나라의 아악을 모범으로 하였지만, 대개 세종 8년(1426)에서 14년(1432) 사이에 한국식으로 정리·쇄신되었다. 즉 한국화된, 혹은 문화변용된 아악이 된 것이다. 당악기의 향악기화, 당악의 향악화, 그리고 한국식으로 정리된 아악에는 상관성이 존재한다. 특히 당악기의 향악기화는 당악의 향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같이 변화되었다는 말이다. 이 중에서도 위 셋이 한국적으로 변화되고 정리된 시점, 즉 위 셋이 한국적으로 문화변용이 된 시점의 상관성은 아주 높다. 그리고 그 시점은 악학궤범 출간 이전에 15세기 전반기에 해당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9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