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순환의 유토피아: 은시대 연극미학의 순환론과 종합주의 : The Time Circle and Synthetism in the Theatrical Esthetics of Silver A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백승무

Issue Date
2013
Publisher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Citation
러시아연구, Vol.23 No.2, pp. 29-56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time circle view and synthetism, melted in the theatrical esthetics of russian Silver age. The Russian modernism theorists idealized the ancient Greek civilization and medieval russian culture, and tried to revive their integrated and creative energy. To find the ideal form in the prior culture model and to restore its forgotten prototype, russian modernists went back to their ideological mentor, Nietzsche. Their exploring archaeological past was because of the notion of general circulation of time, rather than because of an impulse or a vague curiosity to delve into a new and strange thing. Russian modernists considered the reality as a continuum of myth, and wanted to change ancient myths to a modern mythology. Another core keyword to regulate the russian Silver age culture was the concept of synthesis (синтез). Synthetism (синтетизм) was expressed in all cultural areas, and it formed the foundation of philosophy and aesthetics of this era. The phenomenon Synthetism blurred the definite boundaries between art genres, even erased the borders of so-called art activities. So there was no distinguish between art and everyday life, art and the other types of culture. It was natural that the function of art expanded and strengthened. In short, restoration of the synthesized form of the ancient culture meant to heal defects and contradictions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which lost cultural totality and unity.
어느 시대나 동시대인들의 욕망과 희원이 총화된 이상적 지향점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인간의 불안과 결핍이 투사된 그런 낭만적 시공간은 유토피아란 이름으로 외화되어 그 역사를 이어왔다. 유토피아는 사람들 간의 모순과 갈등이 해소되고, 조화와 통합의 전일적 판타지가 지배하는 가상적 공간이다. 초월적 존재의 축복이나 그런 존재를 대신하는 만능기술문명의 수혜는 유토피아에 대한 갈증을 증폭시키는 주요한 기제였다. 하지만 예술이 신봉하는 유토피아는 종교나 과학이 내세우는 유토피아와는 좀 색다르다. 이상적 예술이 상정하는 미학화된 유토피아는 도래할 미래보다는 대부분 지나간 과거 속에 내재되어 있다. 니체는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삶의 무의미를 견디게 하는 창조적 생명력을 보았고, 루카치는 자연과 인간이 분열되지 않은 고대 서사시의 총체성 세계를 그리워했으며, 바흐친은 중세민중문화의 유쾌함과 전복성을 현대문화의 파편성에 대비시키며 중세 카니발의 웃음 속에서 미래의 비전을 발견했다. 이들에게 과거는 생명력과 창조력, 유희와 활력, 부활의 원기와 재생의 파토스가 넘치는 이상적 세계였다. 좌표를 상실하고 진로가 막혀버린 동시대인의 정신적 질병과 문화적 황폐함은 머나먼 고대 세계의 문화적 원시림 속에서만 정화되고 치유될 수 있다는 것이다.
ISSN
1229-10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15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