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농악 연구의 다양성 구축을 위한 연구 성과 검토 및 제안 : An Examination on Research Accomplishment and Proposal for Establishing Diversification in Nongak Stud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정-
dc.date.accessioned2014-06-13T01:36:00Z-
dc.date.available2014-06-13T01:36:00Z-
dc.date.issued2013-12-
dc.identifier.citation동양음악, Vol.35, pp. 67-90-
dc.identifier.issn1975-02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2217-
dc.description.abstract농악은 타악기를 중심으로 하는 음악 연주와 연희, 춤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기능과

목적으로 연행되는 민속 문화이다. 다양한 장르가 섞여 있고, 다양한 기능과 목적이 혼재하고 있으며, 지역적 차별성도 분명하며, 역사적 변화 양상도 복잡하고 적층적이다. 이러한 농악의 존재 양상 때문에 농악 연구는 매우 어려운 일로 여겨져 왔던 것 같다. 그러나 근래에 농악 연구가 이전보다 활발해지고 있으며, 농악 연구의 문제의식이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이루어진 농악 연구의 성과들을 자료의 성격별, 지역별, 학문 범주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농악 연구의 현주소를 찾고자 한다. 또 농악 연구의 다양성 구축을 위해 농악의 복잡하고 적층적인 면모를 정리해 앞으로의 과제를 정리해보려 한다.

첫째, 무엇보다 1차 농악 자료 구축이 시급하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해가는 전승환경을 생각할 때 마을 단위의 기층 농악을 대한 자료 조사가 하루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1차 자료 구축이 잘 이루어진다면 농악 연구의 활성화는 당연히 수반될 결과가 될 것이다. 단 1차 자료 구축시에 다양한 농악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사와 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농악연구에 있어서는 다양성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악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이해와 안목이 있어야 하고, 지역별 차이에 대한 문화권적 파악과 논의가 좀 더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재 지정 종목이나 판굿 위주의 논의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셋째, 음악, 무용, 연희, 민속 등 다양하게 세분된 학문체계 본격적으로 통합 논의가 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로 거칠지만 자유분방한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각 분야별로 방법론을 구축하고 이론을 세워야 서로 소통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여러 분야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면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빨리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농악을 종합예술이라는 점만 강조하여 한 덩어리로 끌고 가려한다면 그 방대한 양에 질려 보고서 수준의 정리를 넘어서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역사적 적층성에 대한 안목을 가져야 한다. 농악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자신의 이해가 분명하고,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적어도 빠트려진 근대사가 없도록 다양한 농악 관련 역사적 흔적들을 정리하고 논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농악의 현장인 마을을 직접 찾고 현지조사를 통해 농악을 연구해야 한다. 또한 한 마을만을 대상으로 하지 말고 여러 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좀 더 객관적인 입장을 가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Nongak is a folk culture that is composed of music performance centering on percussive instruments and dancing, and that is performed for various functions and purposes. There are various genres, functions and purposes in Nongak as well as regional distinctions and Nongak displays complex and layered historical changes. Due to such complexity of Nongak, it has been considered very difficult to pursue academic research on Nongak. However, there is an increased research on Nongak lately and more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study on Nongak.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nd categorizes the accomplishm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on Nonga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regional, and academic category and, finally, attempts to gauge the current status of Nongak research. In addition, the complex and layered features of Nongak have been arranged in order to establish diversification of Nongak study. First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nstruct the first-hand Nongak materials. Considering the ever-changing transmission environment, research on materials based on existing Nongak on a town basis should be conducted in haste. With the first-hand materials well established, active research on Nongak will follow suit. In the process of building first-hand materials, systematic research and establishment of materials are needed to learn about the whole aspects of various Nongak. Secondly, establishing variety in Nongak research is most important. There need to be understanding and eye for various functions of Nongak and cultural grasp and discussions on regional differences should be conducted in more detail. To this end, discussions should not only focus on the items of cultural asset and pangut. Thirdly, there needs to be rough yet footloose discussion and research in each field in order for fragmented fields such as music, dancing performance, and folklore can start discussing about integration. Each field needs to establish methodology and theory in order to expedit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agreement. Certainly, much better results are expected when different fields have impact on one another. However, seeing Nongak as composite art and trying to draw it as one piece can be overwhelming due to the vastness of Nongak. Fourthly, eye for historical layer is required.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o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Nongak are needed. For this, various historical marks related to Nongak should be arranged and discussed not to omit any modern history. Most of all, field research is required. It will be more beneficial to study a number of villages, not just one, in order to hold an object view.-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dc.subjectNongak-
dc.subjectNongak research-
dc.subjectconstruct the materials-
dc.subjectcultural asset-
dc.subject농악-
dc.subject농악 연구-
dc.subject자료 구축-
dc.subject문화-
dc.title농악 연구의 다양성 구축을 위한 연구 성과 검토 및 제안-
dc.title.alternativeAn Examination on Research Accomplishment and Proposal for Establishing Diversification in Nongak Study-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ey-Jung-
dc.citation.journaltitle동양음악(Journal of the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dc.citation.endpage90-
dc.citation.pages67-90-
dc.citation.startpage67-
dc.citation.volume3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