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크라시아와 무지 : <니코마코스 윤리학> 7권 3장을 중심으로 : Akrasia and Ignorance in the Nicomachean Ethics VII.3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편상범

Issue Date
2014-05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Citation
철학사상, Vol.52, pp. 97-139
Keywords
AristotleSocratesakrasiaphronēsispractical syllogism아리스토텔레스소크라테스아크라시아프로네시스실천추론
Abstract
자신에게 최선의 행동이 무엇인지 알면서 이에 반한 행동을 하는 것(아크라시아)은 불가능하며 그것은 단지 무지로부터 비롯한 행동이라는 소크라테스의 주장 이래로 아크라시아 문제는 오늘날까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실천철학의 중요한 난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주장과 상식의 충돌을 해소시키려는 최초의 철학적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7권 3장을 분석한다. 많은 학자들이 7권 3장의 결론이 지나치게 소크라테스적으로 보이는 데에 불만을 가지고 아리스토텔레스와 소크라테스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 그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도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필자는 실천적 앎과 행동의 관계에 관련된 아크라시아 문제는 완전한 실천적 앎인 프로네시스(실천적 지혜)와의 연관 속에서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보며, 프로네시스를 기준으로 보면 7권 3장의 결론은 소크라테스적일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프로네시스를 지닌 자에게 아크라시아는 불가능하며 이는 소크라테스의 결론과 다를 바 없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가 소크라테스의 주장을 그대로 되풀이하는 것은 아니며, 아크라시아를 인정하는 상식이 수용될 수 있는 여지를 또한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아크라시아 난제를 푸는 핵심 열쇠는 앎의 내면화에 따른 앎의 정도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며, 이에 주목하면 7권 3장을 보다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추론(practical syllogism)과 관련한 문제들의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roblem of akrasia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onundrums in practical philosophy since the Socratic assertion that it is impossible and caused by ignorance to do the opposite in spite of knowing which the best action is. In this article, I analyze Book 7, Chapter 3 of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which was the first philosophical endeavor to harmonize Socratic assertion with common sense morals. Many scholars are dissatisfied with the conclusion of that chapter which seems to be too much Socratic, and they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Socrates opinion and Aristotles by claiming that it is Aristotles own intention. On the contrary, I hold that we can understand the problem of akrasia involved in practical knowledge and action on the horizon of relation with phronesis (practical wisdom), and that the conclusion of that chapter should be Socratic from the respect of phronesis. Those with phronesis cannot do akrasia, which is not different from Socratic opinion. Aristotle, nevertheless, does not repeat Socratic assertion, and his agreement shows the room in which common sense accepts the concept of akrasia. As a key to the conundrum, I propose that we should admit the degree of knowledge according to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I also assert that we can naturally understand that chapter with this key, and that we can solve the other problems related to Aristotles practical syllogism.
ISSN
1226-700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27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