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관료들의 혁신행동 의지 영향요인 분석 : 임파워링 리더의 행동과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Government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A Focus on Empowering 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for Enhancing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대원

Issue Date
2014-03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 52 No. 1, pp. 35-62
Keywords
leadershipSelf-leadershipInnovative behavior intentionMediating regression model임파워링 리더십지시적 리더십셀프리더십혁신행동 의지매개효과
Abstract
최근 조직 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의지가 조직혁신의 원천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면서 이의 선행변인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임파워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self leadership) 등과같은조직구성원들의심리적주인의식(psychological ownership)을자극할수있는 영향변인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 스스로 외부의 지시나 통제와는 상관없이 근본적인 자기통제 시스템을 자극할 수 있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 의지의 중요한 영향변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을 근거로 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관료들을 대상으로 이들 변인들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은 모두 혁신행동 의지의 중요한 영향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셀프리더십의 행동지향 전략, 자연보상 전략, 그리고 건설적 사고전략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 의지간 관계에서 매개역할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과 중심의 지시적 리더십(directive leadership)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의 관리체제하에서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관료들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가지고 업무에 대한 자기 주도적 관리와 내재적 동기부여 등을 담보하기 위한 임파워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의 고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Considerable research has recently suggest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are expected to enhance subordinate's work motivation and performance through delegating authority for job-related decisions and through involving subordinates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 work. However,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two constructs to innovative behaviors intentions has still barely been touch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with the self-leadership of followers as a mediator using a sample of 175 public workers from Korean government organization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after establish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was verified by Cronbachs α. The study showed that both empowering 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In particular, self-leadership was also proven to fully mediate the effect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positiv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but also the positive meditating role of self-leader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of government employees.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27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