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골의 「코」에 나타난 기독교-신화적 세계관 : 욕망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성서적 고찰 : Christian-Mythical Worldview in Gogols Nose: Biblical Reflections on Relationship of Desire and Ident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완

Issue Date
2014-05-31
Publisher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Citation
러시아연구, Vol.24 No.1, pp. 187-215
Keywords
Biblical ViewpointChristian-Mythical ViewpointMimetic Desire and IdentityRussian National IdentityModernization성서적 관점기독교-신화적 관점정체성과 모방욕망러시아 민족적 정체성근대화
Abstract
「코」(1836)에서 고골은 자신의 기독교-신화적인 관점에서 동시대 페테르부르크의 서구에 대한 비속한 모방욕망과 러시아 민족적 정체성의 상실 문제를 생생하게 부각시킨다. 그는 기존의 문화예술 텍스트들을 창조적으로 모방하면서 러시아인들의 서구 사교계의 에티켓과 관료제에 대한 비속한 모방을 아이러니컬하게 풍자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8등 문관이자 자칭 소령인 코발료프는 환유적인 대상인식과 서구에 대한 기계적인 모방 면에서 이반 야코블레비치와 분신관계를 이룬다. 더불어 코발료프는 관료주의를 악용하여 더 높은 관등을 얻고자 하는 출세주의자이기도 하다. 그런 그에게 코의 상실은 자신의 정체성의 상실이자 삶의 모든 욕망의 좌절을 의미한다. 고골은 코가 자신을 5등관이자 주체라고 참칭하는 것을 통하여 관료주의를 악용하는 코발료프의 참칭성과 자신을 주체로 인식하는 근대인들의 참칭성을 동시에 문제화한다. 성서적 관점에서 고골의 페테르부르크 비판은 기독교적 요소와 신화적 요소를 동시에 내포한다. 고골은 근대 사회에서 삶의 초논리성이 부인되면서 부조리가 만연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표출하는데, 이것은 기독교적 시각에 속한다. 그의 신화적인 인식은 자기 자신, 러시아, 인간 사회 자체의 근본적인 양가성, 모순성, 가변성, 비결정성을 이념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과 러시아에게 과도한 메시아적 정체성을 부여하는 데서 드러난다. 이런 양가적 세계관에는 그가 유년 시절에 접한 우크라이나-러시아 바로크 문화의

종말론적인 염세주의와 10대에 접한 낭만주의적 마성주의, 정교와 낭만주의의 예술가 숭배 사상이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In Nose (1836), Gogol, from his Christian-mythical viewpoint, represented contemporary Russians banal mimetic desires to be enlightened moderns in the western style, imitating Western aristocratic etiquettes and bureaucracy. For this goal, Gogol integrated in the text his linguistic ingenuity, comicality, satiric and fantastical expressive power, and imitative creativity referring to other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s. In the story, Kovalev, an 8th ranking civil servant and self-claimed major, is a double of the barber, Ivan Yakovlevich, barber since they share metonymic conception of reality and mimetic desires to be an enlightened citizen by abiding the Western aristocratic etiquettes. Additionally, Kovalev, typical banal status-sneaker, is obsessed with the mimetic desire to look decent and occupy higher positions in the Russian bureaucracy. Thus, he identifies his lost nose as himself and makes desperate efforts to return it to its original place, relying on rational social institutions. His and other characters common absurd responses to the fantastic accident imply Gogols criticism of contemporary Russians who forgot their sublime national identity because of their banal mimetic desires to become Western moderns. From the biblical angle, Gogols Christian-mythic viewpoint is ambiguous. His Christian understanding of evil desires in human beings is combined with mythical ideas: apocalyptic pessimism about modern Petersburg; romantic binary opposition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epochs; and messianic self-identification as an epic poet creating a verbal icon.
ISSN
1229-10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32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