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의 과거사 정리담론 : 4대 사화를 중심으로 : Discourses on Coping with Past Evils in Joseon Dynasty: A Focus on the Four Major Purges of Literat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정인; 장원윤

Issue Date
2014
Publisher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Citation
한국정치연구, Vol.23 No.2, pp. 1-25
Keywords
coping with past evilsfour major purges of literatihungu (勳舊)sarim (士 林)politics of public opinionConfucian constitutionalism과거사 정리4대 사화훈구(勳舊)사림(士林)공론정치유가 헌정주의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조선 중기에 4대 사화(무오·갑자·기묘·을사 사화)에 대한 피해자의 신원·추증 문제를 둘러싸고 치열하게 전개된 정치적 논쟁을 현대의 과거사 정리와 관련된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전통시대의 정치와 현대 정치에 대한 비교 사상적 분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 정치사 연구에 현대의 정치이론인 과거사 정리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검토를 통하여 현대의 과거사 정리와 비교할 때, 이념적 기반, 논의 주체 및 참여자의 범위 그리고 정책결정과정 등에서 의미심장한 차이가 있지만, 전통시대인 조선시대에서도 그 나름의 원칙과 절차 및 정치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과거사 정리를 추진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의 과거사 정리를 이끈 유교 정치이념의 헌정적 원칙이나 규범으로 도통 개념에 입각한 정의개념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 주자학자인 사림은 왕통과 도통의 분리를 전제로 정치의 올바른 방향을 실질적으로 담지하고 있는 주체는 왕통을 물려받은 국왕이 아니라 도통을 전수받은 자신들이란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과거사 정리를 통하여 사림파는 왕통을 세습한 국왕이 도통을 계승한 주자학자들을 국정의 동반자로 삼아 공론에 의거하여 정치를 해야 한다는 군신공치(君臣共治) 사상을 헌정적 원칙으로 확립하는 데 성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duct an analysis of comparative political theory by applying contemporary theory regarding coping with past evils to intense debates over four major purges of literati in Joseon Dynasty, theMuo, Kapcha, Kimyo and Eulsa Literati Purges, in which a number of Neo-Confucian literati were purged. To do this, it was examined whether the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regarding coping with past evils could be applied to premodern Joseon history. Through exa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Joseon Dynasty carried out the task of coping with past evils in accordance with its own principles and procedures and consensus of political society,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Joseon era and modern times in normative standard, the scope of subjects and participants in political discourses, and decision-making process. Then discourses on coping with past evils in Joseon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hre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en issues of coping with past evils were brought up, what kinds of positions were taken by kings and various factions of ministers and literati; how did they express their viewpoints; and why did they take and sustain theirs? Second, how were issues of coping with past evils set up as critical agenda? Third, what wer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norms in Confucianism that led to discourses on coping with past evils in Joseon?
ISSN
1738-747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32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